‘한지붕 두 가족’ 강대강 대치 속 분당 초읽기..당 쇄신 놓고 책임전가 공방만 지속

[공공뉴스=강현우 기자] 새누리당이 분당으로 치닫고 있다. 탄핵 정국이 이제는 헌법재판소로 넘어가면서 당내 문제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최절정에 치달으면서 새누리당을 해체하고 새로운 보수정당을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은 새누리당 의원들이라면 모두 갖고 있다.

하지만 그 방법론에 대해서는 친박계와 비박계의 입장차가 크다.

◆與, 친박 ‘혁신과통합연합’ vs 비박 ‘비상시국위원회’..분당 초읽기

친박계는 ‘배신자’ 비박계를 내쫓을 구상을 하고 있다. 친박계 50여명은 지난주말 회동을 갖고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의원 등 비박계를 출당시킬 계획을 세웠다.

탄핵 찬성표를 던진 비박계 인물들과 새누리당에서 같이 살 수 없다는 것이 친박계의 입장이다. 친박계로서는 비박계는 배신자인 셈이다.

서청원, 최경환 새누리당 의원 등 친박계 의원들은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모처에서 심야회동을 열고 친박계로 구성된 ‘혁신과통합연합(이하 혁통)’을 출범하기로 했다. 현역 의원만 50명에 달하는 매머드급 공식모임이다.

대변인 격인 민경욱 의원은 브리핑을 통해 “보수의 분열을 초래하고 당의 분파 행위를 앞장서며 해당 행위를 한 김무성, 유승민 두 의원과는 당을 함께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두분이 탄핵사태 와중에 보였던 입장이나 행동을 해당 행위, 분파 행위로 생각하고 그분들과 당을 함께 할 수 없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비박계 역시 친박계를 폐족으로 규정하고 있다. 지난 9일 탄핵 가결에서 압도적인 표로 가결이 되면서 이제 더 이상 친박계가 당권을 장악하는 것을 두고 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더욱이 하루라도 빨리 새누리당을 혁신하지 못하면 보수정당이 무너질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작동하고 있다.

이에 따라 비박계는 친박계를 출당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다.

비박계 회의체인 비상시국위원회는 1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총회를 열고 이정현 대표와 조원진·이장우 최고위원, 서청원·최경환·홍문종·윤상현·김진태 의원 등 친박 핵심 의원 8명에 대한 탈당을 요구했다.

비상시국위는 이들 8인 의원들을 국정을 농단하고 민심을 배반하고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를 방기한 ‘최순실의 남자들’이라고 규정했다.

이처럼 새누리당의 ‘당내당‘ 모임이 전면 충돌 양상을 빚으면서 보수 정당의 분당(分黨)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다.

지난10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역 인근에서 박근혜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박사모) 회원들이 박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를 하며 새누리 비박-비주류 탈당 제명 촉구 피켓을 들고 비박계 탈당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사진=뉴시스>

◆한지붕 두 가족..누가 먼저 짐 싸나?

문제는 ‘과연 누가 나갈 것인가’라는 것이다. 친박이나 비박 모두 상대를 향해서 당에서 나가라라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새누리당의 자산은 자신들이 가지겠다는 것.

새누리당이 집권여당을 겪어오면서 나름 자산들이 상당히 많이 있다. 특히 당원명부는 새누리당의 소중한 자산으로, 이를 가지지 못하면 앞으로 보수정당을 운영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당원을 다시 모집해야 하고, 그 모집한 당원을 상대로 해서 전당대회를 치르는 등 신당 창당 작업은 상당히 고통이 따를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다.

하지만 당원명부를 가지게 된다면 그 수고로움을 덜 수 있다. 때문에 상대를 향해 나가라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출당을 시킬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이다.

당권은 친박계가 가지고 있지만, 비박계를 아무런 명분도 없이 출당을 시킬 수 없다. 비박계 역시 당권을 가지고 있는 친박계를 출당시킬 방법은 없다.

결국 서로 나가라고만 외치고 있지 정작 본인들이 탈당을 결행할 결심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는 분석이다.

◆책임전가 공방 속 복잡한 새누리

이런 이유로 일각에서는 ‘나가라’라는 이야기만 난무할 뿐이지 실질적으로 분당까지 가지 않을 수도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그만큼 새누리당 상황이 복잡하다.

하루라도 빨리 분당을 해서 새로운 보수정당을 만들어나가는 것이 새누리당에게 상당히 좋은 방향이겠지만 그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 정치권 안팎의 시각이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