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아들 취업 관련, 허위 사실 유포 시인..‘개인 일탈 vs 윗선 개입’ 당 존폐 기로

[공공뉴스=유채리 기자] 문재인 대통령 아들 준용씨의 취업 특혜 의혹이 조작됐다는 사실이 국민의당 스스로의 고백을 통해 나오면서 파장이 일파만파 번지고 있다.

이씨는 대선 직전 “준용씨 미국 파슨스스쿨 동료로부터 준용씨의 고용정보원 입사와 관련해 당시 문재인 후보가 개입했다는 제보를 받았다“며 허위 사실을 유포한 혐의를 받고 있다.

당시 이씨는 이준서 전 국민의당 최고위원에게 준용씨 파슨스스쿨 동료를 자처한 익명 제보자의 음성변조 증언 파일과 모바일 메시지를 조작해 제공했다.

지난 대선 때 문재인 대통령의 아들 문준용씨에 대한 입사특혜 의혹 관련 제보 내용을 조작한 국민의당 당원인 이유미씨가 27일 오전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검에서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던 중 긴급체포됐다. 검찰은 이씨를 추가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사진=뉴시스>

이와 관련, 국민의당 박주선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26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유미 당원으로부터 관련 카카오톡 캡처 화면과 녹음 파일을 이준서 전 최고위원이 제보받았고 그 내용의 신빙성을 검토한 바 신빙성이 있다고 확인해 이를 공개했다”면서 “그러나 당시 관련 자료를 제공한 이유미 당원이 직접 조작해 작성한 거짓 자료였다고 어제 고백했다”고 시인했다.

익명 제보자 음성은 이씨의 동생이 연기한 것으로 파악됐다. 관련 증언이 담긴 모바일 메시지 모두 조작이었다.

국민의당은 그러면서 이씨의 개인적인 일탈로 몰아갔다. 이씨 개인이 저지른 일이며 당과는 무관하다는 뜻을 보인 것.

하지만 정치권 안팎에서는 일개 일반 당원이 저지른 일로 치부하기에는 너무나 파장이 큰 것이기 때문에 당이 조직적으로 개입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대선 당시 공명선거대책위원장인 이용주 의원이 이 음성파일을 공개하면서 준용씨 취업 특혜에 대해 맹공을 퍼부었다. 이 의원이 검사 출신이란 점을 살펴본다면 최소한 당에서 이 음성파일의 주인공이 진짜 준용씨 친구인지 여부에 대해 크로스체킹이라도 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만약 크로스체킹 없이 일반당원인 이씨의 말만 그대로 믿고 발표를 했다고 해도 국민의당은 그 책임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더욱이 이씨는 윗선의 지시에 의해 이뤄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그 윗선으로 지목된 인물은 이준서 전 최고위원이다. 그렇게 되면 당이 조직적으로 개입했다는 것이 드러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김동철 원내대표와 박지원 전 대표 등 전현직 당 지도부는 윗선 개입설을 부인하고 있다.

이씨는 준용씨에 대한 입사특혜 의혹 관련 제보 내용 조작 혐의로 지난 26일 오후 3시30분께 참고인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했다. 이후 같은날 오후 9시12분께 피의자 신분으로 긴급체포돼 남부구치소에 수감됐다.

검찰은 이날도 이씨에 대한 재조사에 들어갔다. 검찰은 이씨가 이 전 최고위원 등 국민의당 윗선의 지시를 받고 특혜 의혹 증거를 조작했는지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

국민의당은 일반당원인 이씨 개인이 저지른 일로 치부하기에도, 당이 조직적으로 움직였다고 해도 그 책임에서는 벗어날 수 없다. 국민의당으로서는 그야말로 정치적 파장에서 벗어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당의 존립 자체가 흔들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 당원의 개인적 일이든, 조직적 일이든 대선을 부정하게 치르려고 했다는 것 때문에 국민의당이 현재 맹비난을 받고 있다.

그로 인해 국민의당은 정치적 입지가 상당히 좁아질 수밖에 없다. 이대로 가면 당이 공중분해될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형국이다.

국민의당은 전당대회를 치러야 하며, 당 혁신도 해야 한다. 그러자면 당의 지지율 확보가 가장 중요한 목표인데 이번 파문으로 인해 민심이 등을 돌릴 수밖에 없다. 특히 호남 민심이 등을 돌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대로 가면 내년 지방선거는 물론 차기 총선에서 국민의당이 과연 몇 석이나 얻을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그만큼 당이 위기로 치닫고 있고, 현재로써는 돌파구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결국 국민의당 안팎에서는 한숨소리만 나오고 있는 상황으로 위기를 어떻게 극복해 나갈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