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뉴스=이민경 기자] 먹거리 파동 이제는 지겹다. 식품 이물질 논란부터 햄버거병, 최근 ‘살충제 계란’ 파동까지 잊을 만하면 곳곳에서 터져 나오는 먹거리 안전 문제로 국민들의 불안과 불신은 일파만파 커져만 가고있다.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가공식품부터 식당이나 가정 식탁에 오르는 신선식품까지 ‘먹거리 공포’가 확산되면서, 국민들은 안전한 먹거리를 위해 ‘자급자족’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에 빠진 모습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한해 식품 이물질 발견 신고만 무려 5000건에 달한다.

지난해 식약처에 보고된 식품 이물질 신고 건수는 총 5332건. 종류별로는 벌레가 33%로 가장 많았고, 곰팡이(10.3%), 금속(8.2%), 플라스틱(5.8%), 유리(1.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최근에는 CU편의점에서 판매한 김밥 안에서 사람의 치아 충전재로 추정되는 이물질이 나오기도 했고, 무학의 이른바 ‘담뱃재 소주’도 국민들을 분노케 했다.

‘햄버거 병’도 논란의 중심에 서있다. 지난해 9월 고기 패티가 덜 익은 맥도날드 햄버거를 먹은 4세 여아가 용혈성요독증후군(HUS)이라는 질병에 걸리면서 콩팥이 90% 가까이 손상됐다는 아이 엄마의 주장이 나왔기 때문.

피해 아이의 부모는 맥도날드 한국지사를 식품안전법 위반 혐의 등으로 검찰에 고소, 맥도날드와 법적 소송을 벌이고 있다.

그리고 최근 ‘살충제 계란’ 파동이 터지면서 국민의 식탁 안전까지 위협을 가하고 있다. 국민들이 즐겨먹는 계란이 각종 발암물질과 살충제 범벅이었다는 사실은 모두를 경악케 하기 충분했다.

여기에는 대기업이 운영하는 대형마트의 제품도 포함됐다.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 3사에서 모두 살충제 계란이 발견됐고 환불 요청은 끊이지 않고 있다.

사태가 심각해지자 정부는 전국 산란계 농장 1239개(친환경 농가 683개·일반농가 193개)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했고, 이 가운데 총 49개 농가에서 사용이 금지되거나 기준치 이상이 검출되면 안되는 살충제 성분이 나왔다.

정부는 부적합 판정을 받은 이들 농가의 계란을 전량 폐기처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장기간에 걸쳐 살충제 계란을 섭취했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은 떨쳐버릴 수 없는 상황.

특히 일반 산란계 농장의 계란보다 ‘친환경’으로 포장됐던 제품에서 비펜트린, 피프로닐, 플루페녹수론, 에톡사졸, 피리다벤 등 살충제 성분이 대거 검출되면서 소비자들의 배신감은 더욱 커졌다.

이에 정부는 “성인 기준으로 살충제 계란을 하루에 126개까지 먹어도 문제가 없다”고 밝히면서 사태 수습에 나섰다.

그러나 그 마저도 국민들은 불신에 차 있고 육류와 해산물, 채소까지도 믿지 못하는 상황까지 왔다는 지적이다.

공공뉴스 경제부 이민경 기자

“음식 가지고 장난하지 말라”는 어른들의 꾸중을 한번 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먹는 음식으로 장난 쳤다는 뉴스를 종종 접할 때마다 분통이 터지는 것은 그만큼 안전한 먹거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일 터.

해마다 끊이지 않는 먹거리 논란으로 인해 이제는 정말 제대로 된 식품안전 컨트롤타워가 필요한 상황이다.

결국 ‘소’를 잃고 후회한 뒤 외양간을 고치기 보다 안전한 먹거리 인증과 철저한 위생검사에 대한 새 정부의 전반적인 제도 보완이 절실한 때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