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계 인사 82명, 문화계 6명, 배우 8명, 영화계 52명, 방송인 8명, 가수 8명 등

[공공뉴스=김수연 기자] 검찰이 이명박 정부 시절 운영된 ‘문화계 블랙리스트’에 대한 수사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문재인 정부가 ‘국정원 적폐청산’이라는 명분으로 이명박 전 대통령과 그 측근들에 대한 본격적인 압박에 나섰다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특히 이 전 대통령의 관련성 여부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는 상황. 당시 국정원의 문화·예술계 인사들을 퇴출시키려는 불법행위는 ‘VIP(대통령) 일일보고’ 형태로 수시 보고된 것으로 알려져 수사의 최종 종착역은 이 전 대통령이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14일 검찰 등에 따르면, 국가정보원은 MB정부 시절 국정원의 문화·연예계 내 정부 비판세력 퇴출 활동과 관련해 이날 원세훈 전 원장과 김주성 전 기획조정실장을 국정원법상 직권남용 혐의로 검찰에 수사 의뢰했다.

검찰은 이날 오전 국정원으로부터 자료를 넘겨받고 곧바로 검토에 착수했다.

문화계 블랙리스트 수사는 국정원 댓글수사를 진행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부장 진재선)와 공공형사수사부(부장 김성훈)가 맡는다.

앞서 국정원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 조사 결과 국정원은 원 전 원장 재임 초기인 2009년 7월 김 전 실장 주도로 ‘좌파 연예인 대응 TF’를 구성해 정부 비판 성향의 연예인이 특정 프로그램에서 하차하도록 압박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블랙리스트에 올린 문화·예술계 인사는 82명으로, 문화계 6명, 배우 8명, 영화계 52명, 방송인 8명, 가수 8명 등이다.

여기에는 소설가 이외수·조정래, 영화감독 봉준호·이창동, 배우 문성근·문소리·이준기, 방송인 김구라(본명 김현동)·김미화·김제동, 가수 윤도현 등 유명 인사들이 대거 포함됐다.

검찰은 이들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피해 정황을 파악한 뒤 주요 피해자들은 직접 불러 사실 등을 조사할 방침이다.

피해자들 가운데 배우 문성근씨가 오는 18일 처음으로 검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는다. 국정원 심리전단은 2011년 문씨와 배우 김여진씨가 나체로 껴안고 있는 모습의 합성 사진을 제작해 유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법조계에서는 MB정부가 블랙리스트 관리한 정황이 드러난 이상 윗선 수사는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검찰 수사는 원 전 원장 등 국정원 관계자와 KBS, MBC 등 방송국 관계자, 그리고 MB정부 시절 청와대 인사로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아울러 검찰 수사 결과 ‘문화계 블랙리스트’ 운영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이들은 사법처리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편, 국정원은 ‘문화계 블랙리스트’ 사건 외에도 ‘박원순 제압문건’을 만들어 심리전 활동을 한 혐의로도 원 전 원장과 김 전 실장을 검찰에 수사 의뢰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