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외환위기 때보다 많아 ‘사상최악’..향후 전망도 불투명

[공공뉴스=김선미 기자] 계속되는 고용 한파에 반년 이상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장기백수’들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청년층을 중심으로 고용사정이 수년째 악화되면서 실업의 양과 더불어 질도 빠르게 나빠지고 있다.

한 일자리 박람회에서 취업준비생들이 채용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사진=뉴시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구직기간 6개월 이상 실업자는 14만7000명으로 전년(13만3000명)보다 1만4000명(10.5%) 늘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0년 이후 최대치다.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2009년·8만 명)나 외환위기(2000년·13만8천 명) 때보다도 많은 수치다.

전체 실업자 중 6개월 이상 실업자 비중은 14.3%를 기록, 2000년(14.1%) 당시 역대 최고 기록을 17년 만에 다시 썼다.

2014년 7.5%였던 6개월 이상 실업자 비중은 2015년 10.0%, 2016년 13.1% 등 3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올랐다.

장기 백수 비중은 외환위기 여파에 시달리던 2000년대 초반 두자릿 수까지 올랐지만 2010년 7.0%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최근들어 또 다시 상승하는 모습이다.

이 같은 장기 백수 증가는 청년(15~29세)실업률과도 관련이 깊다. 지난해 청년실업률은 9.9%로 역대 최고치를 나타냈다. 청년실업률은 2014년 9.0%를 기록한 이후 4년 연속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장기 백수 비중은 고용 한파가 길어지면서 실업자가 누적된 상황을 반영한다는 분석이다.

또한 장기 백수가 늘수록 일자리 질은 악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대기업 일자리가 줄면서 장기 백수 가운데 상당수가 원하는 직장을 찾지 못하고 있다는 것.

더 큰 문제는 향후 전망도 불투명한 상태라는 것이다. 한국 경제 성장이 반도체 등 고용 유발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은 부문을 중심으로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장기 실업 상황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게다가 새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노동정책이 기업 경영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