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뉴스=이민경 기자] 지난해 창사 이래 첫 영업이익 ‘1조 클럽’ 달성으로 함박웃음을 터뜨린 임병용호(號) GS건설이 그러나, 연초부터 발생한 근로자 사망사고로 곤혹스러운 기색이 역력하다.

이미 ‘산업재해 최다 발생 건설사’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는 GS건설에서 올해도 어김없이 사고가 발생, 하청업체 근로자 3명이 목숨을 잃어 비난의 화살이 쏟아지는 형국.

더욱이 임병용 GS건설 사장은 매년 ‘안전 제일’을 외치고 있지만, 사고가 난 건설 현장에는 안전 그물망조차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고질적인 안전불감증이 빚은 예고된 인재(人災)라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이번 사망사고와 관련해 정치권에서도 원청의 설비 부실을 꼬집으며 GS건설의 책임자 구속과 관련자 엄벌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어 향후 조사 결과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임병용 GS건설 사장
임병용 GS건설 사장 <사진=뉴시스>

◆GS건설, 끊이질 않는 근로자 사망사고 ‘진땀’

20일 GS건설 등에 따르면, 지난 18일 낮 12시40분께 GS건설이 시공 중인 경북 안동시 경북도청신도시 내 환경에너지종합타운 공사장에서 작업 중이던 하청 근로자 3명이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숨진 A(50)씨, B(50)씨, C(39)씨 등 3명은 사고 당시 건설 공사장 5층(지상 약 20m)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 중이었으며, 이 과정에서 근로자들을 지탱하던 철물 거푸집(지지대)이 무너지면서 아래로 추락했다.

이들은 사고 직후 119구급대에 의해 병원 3곳(안동의료원, 성소병원, 안동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결국 숨지고 말았다.

이들은 이날 이곳 공사장에 처음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오전 7시께 안전교육을 받은 뒤 오전 8시30분께부터 콘크리트를 붓고 고르는 일을 하다가 변을 당했다.

경찰은 숨진 근로자 3명이 딛고 있던 발판이 이들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무너져 내린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당시 사고 현장에는 근로자 추락에 대비하는 추락 방지망이 없었다. 또 작업자들은 안전모, 안전화, 벨트 등은 착용했지만 안전을 위한 와이어를 연결하지 않은 채 작업을 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경찰은 시공사인 GS건설 현장소장 D(52)씨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입건했다. 

현장의 안전 관리를 총괄하는 D씨가 사고일 2~3일 전부터 공사 현장에 설치된 안전망을 빼라고 지시했다는 주변의 진술을 확보한 데 따른 것.

경찰은 “시공사와 하청업체 관계자 등을 불러 설계도면 대로 시공했는지, 안전수칙을 준수했는지 여부 등을 조사 중”이라며 “위법사항이 드러나면 산업안전보건법 위반과 과실치사 혐의 등으로 추가 입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근로자 3명이 추락해 숨진 경북북부권 환경에너지종합타운 건설 공사장 5층 거푸집(빨간 점선)이 붕괴돼 있는 모습. (사진제공=안동소방서
근로자 3명이 추락해 숨진 경북북부권 환경에너지종합타운 건설 공사장 5층 거푸집(빨간 점선)이 붕괴돼 있는 모습. <사진=안동소방서>

◆정치권도 ‘예의주시’..“원청 책임자 엄벌해야”

이번 근로자 사망사고가 발생한 GS건설은 시공능력평가 상위 5대 건설사 중 하나다. 지난해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건설공사를 수주하면서 이들 건설사 가운데 신규 일감을 가장 많이 확보했다.

하지만 매년 산재사고는 끊이질 않아 신규 수주에만 열을 올리고 안전은 등한시 하고 있다는 말도 나오는 실정.

실제로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고용노동부(이하 고용부)로부터 제출받아 지난해 10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GS건설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간 통계에서 산재 발생 2위 기업, 산재 총계 순위로는 1위를 기록하는 불명예를 얻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최근 하청 근로자의 안전 문제에 있어 원청 책임과 처벌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산업안전보건법 전면개정안이 공포됐고 건설업계 등에서는 내년 시행에 앞서 대응 방안 모색에 분주한 상황.

이 같은 분위기 속 발생한 근로자 사망 사고에 정치권까지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점은 GS건설에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이정미 정의당 의원은 이번 사고에 대해 “기본적인 설비 부실에 의한 후진적 재해로 원청 책임자 구속과 관련자를 엄벌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은 GS건설의 하청 근로자들이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는 지상 20m 높이 데크플레이트의 일부가 붕괴되면서 추락한 사고”라며 “기본적인 설비 부실에 의한 후진적인 산재사망사고로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다.

실제 GS건설은 2009년 14명이 사망하면서 ‘최악의 살인기업’으로 선정된 바 있고 2016년~2018년 동안 13명이 사망(사고사망 10명·질병사망 3명)하는 등 산재로 인한 사망 사고가 매해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의원은 “대형 건설사의 건설현장에서 일어나는 산재사망의 경우 설비 부실로 인한 떨어짐 등이 대부분인 만큼 원청의 설비 부실, 안전설비 부재 등에 대한 책임을 엄중히 물어야만 이런 산재사망사고 반복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매년 발생하는 산재사고 사망자 중 건설업 사망자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번 사고에 대해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고용부에는 산재사망 다발 사업장인 대형 건설사의 주요 건설현장 전반에 대해 산업안전근로감독을 실시할 것을 촉구했다.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업계 최장수 CEO’ 임병용, 실적 잡고 안전은 뒷전?

한편, GS건설은 지난해 영업이익 1조649억원을 거두면서 ‘1조 클럽’에 처음으로 입성했다.

매출 역시 신기록을 달성하는 등 성장성과 수익성 모든 면에서 역대 최고 성적표를 받았다.

GS건설은 이 같은 여세를 몰아 올해도 기존 사업의 내실을 다져 수익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새로운 먹거리 발굴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

이 같은 호실적 중심에는 임 사장이 있었다. 2013년 6월 취임한 임 사장은 침체기에 놓였던 GS건설에 ‘구원투수’로 등판, 그 진가를 발휘하며 현재 업계 최장수 전문경영인(CEO) 타이틀을 얻고 있다.

GS건설은 오는 22일 개최될 정기 주주총회에서 임 사장의 사내이사 선임의 건을 논의할 예정인 가운데 임 사장이 지휘봉을 잡은 뒤 실적이 꾸준히 개선됐다는 점에서 업계는 무난한 연임을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있다는 GS건설에서 근로자 사망 등 산재사고가 매년 반복되는 것은 물론, 이에 따른 안전불감증 논란도 심화되고 있어 임 사장을 향한 여론의 시선은 그다지 곱지만은 않다.

이와 관련, GS건설 홍보실 관계자는 “(근로자 사망사고에 대해)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라며 “(정확한 사고 경위와 안전수칙 준수 여부 등은) 조사 결과가 나와봐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GS건설은 사망한 하청 근로자들에 대한 보상 문제에 대해 유가족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사고가 발생한 부분에 대해서는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면서 “회사(GS건설)는 사고 수습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며,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해 내부 단속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