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vs 고소득층’ 체감 집값,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벌어져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공공뉴스=황민우 기자] 서울에 거주 중인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체감 집값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으로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 1분위(하위 20%) 저소득층이 서울에서 가장 저렴한 주택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한 푼도 쓰지 않고 꼬박 21년을 모아야 하는 반면, 소득 상위 20%에 해당하는 5분위는 고가의 주택을 살 경우 14.6년이 걸렸다.    

26일 KB주택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연 소득(명목) 하위 20%인 1분위 가구(2인이상·도시가구)의 서울 주택 가격(KB시세) 1분위 기준 PIR(소득 대비 주택가격)은 21.0이었다.

이는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가구가 소득 수준과 비슷한 하위 20% 가격의 주택을 사기 위해서는 번 돈을 한 푼도 쓰지 않고 21년간 모아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PIR은 실제로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기간과 차이가 있지만, 소득과 비교한 주택 가격을 보여주기 때문에 소비자가 체감하는 집값 지표로 활용된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가 가격 상위 20% 주택을 지출 없이 살 수 있는 기간(PIR)은 14.6년이 걸렸다.

즉, 고소득층 가구와 저소득층 가구의 PIR 차이는 6.4년인 셈. 이 같은 수치는 같은 달 기준,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가장 크다.

같은 분위의 주택가격을 기준으로 한 1·5분위 가구 간 PIR 격차는 2008년 12월 5.2를 기록한 뒤 꾸준히 하락세를 이어오다 2017년 12월 2.0까지 떨어졌다. 

소득 차이에도 소득 수준과 비슷한 집을 사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2년 정도 차이가 났던 셈. 

하지만 2018년 높은 집값 상승세가 계속됐고 분배 악화까지 심화되면서 분위별 PIR 격차는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까지 벌어졌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주택가격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3.16%였다. 대출 규제 등으로 상승세가 둔화됐음에도 불구, 11월과 10월에 이어 연중 세 번째로 높았다.

아울러 지난해 4분기 1분위 가계소득은 전년보다 17.7% 줄어든 반면, 5분위 소득은 10.4%나 올랐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