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뉴스=김승남 기자] 최근 프로포폴 투약과 관련해 연예계에서도 파장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20대 여성이 프로포폴을 투약하다 숨진 채 발견된 사건이 발생했다.

정부는 마약류의 오남용과 불법유출을 막기 위해 지난해 5월부터 의료용 마약 투약을 관리하는 마약류통합정보시스템을 가동했지만 허위·조작 가능성 등 여전히 시스템에 구멍이 뚫려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프로포폴의 처방량이 늘면서 관련 의료사고와 범죄가 증가하는 추세인 만큼 마약류 처방 사각지대가 없도록 보건당국의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

<사진=뉴시스>

◆20대 여성, 프로포폴 바늘 꽂힌 채 사망..동거인 의사 체포

서울 강남의 한 아파트에서 20대 여성이 프로포폴을 투약하다 숨진 채 발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서울 강남경찰서는 전날(18일) 오후 3시10분께 서울 강남구 논현동 소재 한 아파트에서 A씨가 팔에 프로포폴이 연결된 수액 바늘이 꽂힌 채 사망한 상태로 발견됐다고 19일 밝혔다.

A씨가 있던 아파트는 성형외과 의사 B씨의 거주지로, 둘은 동거하던 사이로 조사됐다. 또 B씨 아파트에서는 프로포폴이 추가로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마약류관리법 위반, 의료법 위반,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B씨를 긴급체포했다.

경찰은 B씨가 평소 수면 부족을 호소하던 A씨에게 처방전 없이 프로포폴을 놔주다 사망한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망 원인을 수사할 예정이다.

최근 향정신성의약품을 불법 투여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대구 달서경찰서는 지난 18일 마약류관리법 위반과 절도 혐의 등으로 30대 남성 C씨를 불구속 입건했다.

C씨는 이달 초 달서구의 한 병원에 진료를 받으러 갔다가 몰래 12ml짜리 프로포폴 6병을 훔친 뒤 집에서 투약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프로포폴이 없어진 것을 발견한 병원 측이 경찰과 보건소에 신고했고 폐쇄회로(CC)TV 등을 통해 C씨의 범행이 드러났다.

경찰에 검거된 C씨는 프로포폴 투약 사실을 인정했으며 검사 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다.

아울러 대구 서부경찰서도 불법으로 졸피뎀을 투여한 40대 D씨를 불구속 입건했다.

D씨는 2012년 말부터 지난해 중순까지 약 6년 동안 100여차례에 걸쳐 지인의 이름으로 졸피뎀을 추가 처방받아 복용한 혐의(마약류관리법 위반)다.

경찰 조사 결과 오랜 기간 졸피뎀을 투여해온 D씨는 점점 내성이 생겨 많은 양이 필요해지자 지인에게 이름을 빌려달라고 부탁해 지인인 척하고 병원을 찾아 졸피뎀 처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은 D씨에게 명의를 빌려준 지인과 환자의 신원과 상태를 제대로 하지 않고 처방해 준 의사 역시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이 압수한 프로포폴. 해당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제공=제주지방경찰청>

◆방심위, 인터넷 판치는 ‘물뽕’ 등 마약류 매매정보 집중 감시

한편, 사회적 파문이 커지고 있는 일명 ‘물뽕’(GHB) 등 마약류에 대한 인터넷 매매 정보 차단이 강화된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이하 방심위)에 따르면, 인터넷에서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는 마약류 매매 정보에 대한 무기한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방심위가 올해 1분기 시정 요구한 마약류 매매·알선 인터넷 정보는 총 2640건이다. 마약류 매매 정보 시정요구 건수는 지난해 1만1545건으로 1만건을 넘어서는 등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번에 시정 요구된 내용은 주로 해외 블로그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관리가 부실하거나 방치된 국내 사이트 게시판 등에 게시된 마약류 판매글이다.

판매글에서는 GHB·졸피뎀·엑스터시·러쉬와 같은 마약류를 ‘물뽕’, ‘클럽작업제’라고 소개하며 ▲24시간 안에 몸 밖으로 모두 배출돼 추적이 힘들다는 것이 장점 ▲알코올성이 있는 음용 가능한 술에 타서 사용 등 성범죄 수단으로서의 사용방법을 안내했다.

방심위는 경찰청과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기관에서 실시 중인 온라인 마약류 거래 집중단속 모니터링과 연계해 심의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방심위는 인터넷을 통해 거래된 마약류가 성범죄에 이용되고 성범죄를 통해 확보된 불법촬영물이 게시·유포되는 등 마약류 매매 정보가 2차 범죄를 유발하고 있어 사회적 폐해가 매우 크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해당 정보의 삭제·차단을 위해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