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의 은퇴 전후 소득계층 변화
고령층의 은퇴 전후 소득계층 변화 <자료=하나금융경영연구소>

[공공뉴스=황민우 기자] 국민연금 수급자 절반은 은퇴 후 씀씀이가 현역 시절의 5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수입이 급격하게 줄어든 결과로, 국민연금이 노후 생활에 큰 보탬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방증하는 셈이다. 특히 은퇴자들은 자신이 보유한 금융자산이 평균 82세에 소진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나금융그룹 산하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내 국민연금 수급자의 은퇴생활 보고서’를 22일 발표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국민연금 수급자(65세~74세) 6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퇴직 고령자 가운데 0.6%만이 현역시기의 소비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생활 소비수준이 현역시절의 50% 미만이라고 답한 비중은 48.63%였으며, 현역 때의 30%도 안 된다고 답한 비중도 15.8%나 됐다.

또한 은퇴 전 스스로를 상류층으로 봤던 응답자의 81%가 퇴직 후 중산층으로 이동했다고 답했다. 6.3%는 저소득층이 됐다고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노후생활 비용은 201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통계청이 발표한 최소 노후 생활비용 183만원보다는 많은 액수지만, 여가생활 비용 등을 포함한 적정 생활비용 수준인 264만원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적정 생활비용 수준 이상을 소비하며 여유로운 노후생활을 즐기는 은퇴자는 18.5%에 그쳤다.

국민연금 수급자 중 노령연금 수급자 75.7%는 50만원 미만의 연금을 받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100만원 이상을 수령하는 수급자는 단 5.3%에 불과했다.

특히 국민연금 수급액이 노후 전체 생활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5.3%로 낮은 수준. 수급자의 61.5%는 연금 전액을 생활비로 쓴다고 응답했다.

국민연금 수급자는 부족한 생활비를 근로소득(24%), 예적금(13. 4%), 배우자 소득(10.7%), 자식·친척 지원금(7.4%) 등으로 채우고 있었다.

<자료=하나금융경영연구소>
<자료=하나금융경영연구소>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노후에 발생할 의료비까지 고려하면 현재 충분한 노후자금을 마련하지 못한 고령자들은 생활비용을 충당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국민연금 수급자 12.8%는 20~30대부터, 41.7%는 40대부터 노후자금 마련에 나선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정작 보유한 노후 생활비용은 적정한 생활비 수준에 미치지 못했다. 설문 참여자들은 보유한 금융자산이 소진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점을 평균 82세로 봤다.

평균 수명이 길어지면서 우리나라도 100세 시대가 도래했지만 노후 자금 여력은 많이 부족한 상황.

이런 가운데 응답자의 52.6%는 금융자산을 소진한 후 추가 자금을 마련할 방법이 아예 없다고 답했고, 33.8%는 자녀 부양을 기대한다는 답변을 내놨다. 때문에 적극적인 노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지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현재 42.3%인 국민연금 수급자의 소득 활동 참가율을 최대한 끌어올려 경제력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자아실현을 통한 감성적 충족을 느끼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