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뉴스=김승남 기자] 자살시도자 3명 중 1명은 도움을 얻기 위해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보건복지부와 중앙자살예방센터가 공개한 ‘2016~2018년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결과에 따르면,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총 3만8193명 중 37.3%가 ‘도움을 얻으려고 했던 것이지, 정말 죽으려고 했던 것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이는 ‘정말 죽으려고 했으며 그럴만한 방법을 선택했다’는 응답자(34.8%)보다 높았다. 25.5%는 죽고 싶은 마음은 있었으나 실제 죽을 수 있는 방법이 아니라는 것은 알고 있었다고 답했다. 자살 선택자도 죽음이 아닌 살고 싶은 마음이 더 큰 것이다.

실제로 자살시도자 2명 중 1명(50.8%)은 자살시도 시 실마리를 주거나 주변에 도움을 요청했다.

자살시도자의 절반 이상(52.0%)이 음주 상태였고 자살시도자 대부분(87.7%)이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살시도 동기는 ▲정신과적 증상(31.0%) ▲대인관계(21.0%) ▲말다툼 등(12.5%) ▲경제적 문제(9.6%) ▲신체적 질병(6.7%) 순이었다.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들은 10대 이하와 20대의 비율이 증가했으며 특히 여성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경미한 신체적 손상 비율은 2016년 13.2%에서 2018년 17.9%로 계속 늘어났다. 

또한 2016~2018년 기간 동안 사후관리서비스에 동의, 사후관리 접촉이 4회까지 진행된 자살시도자 총 1만2045명을 대상으로 사후관리 효과성 분석도 눈에 띈다.

분석 결과를 보면 사후관리 서비스가 진행될수록 전반적 자살위험도, 자살생각 및 계획, 알코올 사용문제, 식사 및 수면문제 우울감 등 다양한 항목에서 호전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에 대한 치료비 지원 현황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치료비 지원은 자살시도자를 적정서비스로 유입하고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수행하는 병원을 지난해 52개에서 올해 63개 병원으로 확대한다”며 “현재까지 단국대학교병원, 연세대학교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등 8개 병원이 새롭게 선정됐으며 상반기 중 3개 병원을 추가 선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 마포대교에 적힌 자살예방 문구. <사진=뉴시스>

한편, 우리나라의 자살자 수와 자살률이 2017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9 자살예방백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상 자살사망자 수는 전년(1만3092명)보다 629명(4.8%) 감소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24.3명으로 2016년 25.6명보다 1.3명(5.1%) 줄었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지나 유럽발 금융위기 직후로 사망자수와 비율이 가장 높았던 2011년과 비교하면 사망자는 1만5906명에서 3443명(21.6%), 자살률은 31.7명에서 7.4명(23.4%) 감소했다.

성별로는 남성(34.9명)의 자살률이 여성(13.8명)보다 2.5배 높았다. 전체 자살 사망자 가운데 남성은 8922명으로 71.6%를 차지했다.

2017년의 경우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자살률이 줄었다. 특히 60대의 자살률이 2016년 34.6명에서 2017년 30.2명으로 두드러지게 낮아졌다. 자살 사망자는 50대(2568명)에서 가장 많았으나 자살률은 대체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증가했다.

자살 동기는 연령대별로 달랐다. 10~30세는 정신적 어려움, 31~50세는 경제적 어려움, 51~60세는 정신적 어려움, 61세 이상은 육체적 어려움을 호소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리투아니아 포함, 콜롬비아 제외) 자살률(2016년 기준)을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25.8명)는 리투아니아(26.7명) 다음으로 높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65세 이상 노인 자살률(34개 회원국)이 2011년 79.7명에서 2015년 58.6명까지 줄었지만 여전히 전체 회원국 평균(18.8명)의 3.1배, 두 번째로 높은 슬로베니아(38.7명)의 1.5배나 높았다. 10~24세 청소년의 경우 10.7명으로 회원국 중 11번째로 높았다.

복지부 관계자는 “2017년 자살률이 2016년에 비해 감소했지만 여전히 OECD 최고 수준으로 심각한 상황”이라며 “지난해 여러 부처가 함께 수립·시행한 ‘자살예방국가행동계획’을 차질 없이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