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직 시 재취업 가능성 27% 불과..2010년 후 노동이동 둔화

<사진=뉴시스>

[공공뉴스=정혜진 기자] 금융위기 이후 실업자가 취업에 성공할 확률은 낮아졌지만 취업자가 고용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은 커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11일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6월호에 실린 ‘노동이동 분석: 고용상태 전환율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취직률은 2000∼2009년 사이 28.2%였으나 2010∼2018년 25.6%로 2.6%포인트 하락했다. 취직률은 실업자가 구직활동을 통해 한 달 후에 취업할 확률이다.

취업자가 한 달 후 직장을 잃을 확률인 실직률도 같은 기간 1.0%에서 0.8%로 0.2%포인트 떨어졌다. 실업자는 실업자로, 취업자는 취업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의미다.

취직률에 실직률을 더한 값인 노동회전율은 29.2%에서 26.4%로 떨어졌다. 이는 실업자가 실업 상태에서 벗어나기 어려워진 반면 이미 직장을 잡은 이는 취업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커진 셈.

고용이 보호되는 정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인 가운데 국내 기업들의 고용창출력은 낮아진 결과로 분석됐다.

생산 공장이 동남아 등으로 옮겨간 데다 생산에 필요한 취업자 수는 줄어든 상태다. 10억원 생산에 필요한 취업자 수를 말하는 취업계수는 2010년 6.8명에서 2015년 6.2명으로 감소했다.

고학력 노동자들이 늘어난 것도 취직률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고학력 노동자는 일반적으로 정규직 일자리를 선호하는데 기업 입장에서는 채용 비용이 커 이들의 취직률은 낮게 나타나곤 한다.

고용상태 전환율을 학력별, 성별, 연령별로 보면 2018년 들어 저학력 노동자들의 실직률은 크게 높아졌다. 경기 둔화 및 최저임금 인상 등의 영향에 저학력 노동자들이 노동시장 밖으로 밀려났을 가능성이 있다.

성별로 따져 보면 여성의 경우 육아와 가사 등의 이유로 취업자에서 비경제활동인구로 옮겨가는 비율이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15∼29세 청년층이 취업 상태에서 이탈하는 확률이 장년층보다 높게 나타났다. 임시직 비중이 높은 데다 학업 등의 이유에서 직장을 그만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한편, 1986∼2018년을 기준으로 보면 실직률이 실업률 변동의 5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이 외환위기 등 경기변동에 대응할 때 신규채용을 줄이는 방식보다는 직원을 해고하는 방식으로 대응한 결과로 풀이됐다.

한은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노동이동이 추세적으로 둔화했다”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나타난 노동이동 둔화가 향후 노동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