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피크제 폐지·안전인력 충원 등 쟁점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 조합원들이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총파업 예고 기자회견을 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11일부터 준법투쟁을 시작한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은 임금피크제 폐지, 안전인력 충원, 4조 2교대제를 요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공공뉴스=정혜진 기자] 서울 지하철 1호선부터 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이 파업을 하루 앞두고 막판 협상이 진행 중이다.

노조는 임금피크제 폐지와 인력 충원 등 문제를 놓고 사측과 머리를 맞댈 예정이지만 합의에 난항이 예상된다.

15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노사는 이날 오후 3시부터 교섭을 진행하고 있다. 협상이 결렬될 경우 노조는 16~18일 1차 총파업을 벌인다.

노조는 이번 협상에서 이전의 밤샘협상처럼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하지 않겠다는 계획이다. 오후 10시를 마지노선으로 잡고 협상을 진행할 방침이다.

앞서 노사는 지난 6월부터 협상을 진행해왔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는 ▲임금피크제 폐기 ▲안전인력 확충 ▲4조 2교대제 확정 등 크게 세 가지를 요구하고 있다.

가장 큰 쟁점은 2016년 도입된 임금피크제다. 정년 60세를 유지하는 대신 만 58세 직원은 총급여의 10%를, 만 59세는 20%를 감액하는 방식이다.

박근혜 정부에서 지방공기업 임금피크제 도입하면서 임금피크제 대상이 아닌 노동자도 임금에서 손해를 보고 있다는 게 노조의 주장이다.

정부는 도입 당시 청년 신규채용을 위해 임금피크제 별도 정원을 인정하고 이 인원의 인건비는 임금피크제 적용에 따른 절감 재원으로 충당하도록 했다.

공사는 임금피크제 대상 직원의 임금 삭감만으로는 신규 채용직원의 인건비를 충당할 수 없어 기존 직원들의 임금으로 채워 넣어야 한다.

이 비용 때문에 기존 직원들의 임금인상률이 제한된다고 노조는 주장한다. 노조에 따르면, 임금피크제 부족재원은 지난해 32억원, 올해 43억원에서 2020년 68억원, 2021년 114억원으로 늘어난다.

교통공사 측은 파업이 확정될 경우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파업이 본격화되면 지하철 운행률이 평소 대비 대략 60~70%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