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사고 사망자 수 변화. <자료=행정안전부>

[공공뉴스=김수연 기자] 그동안 감소세를 보였던 전체 안전사고 사망자 수가 4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자살과 법정감염병 사망자 수가 크게 늘어난 탓이다.

10일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2019년 전국 지역안전지수’에 따르면, 지난해 안전사고 사망자 수는 3만1111명으로 전체 사망자 중 10.4%를 차지했다.

안전사고 사망자 수는 질병으로 인한 사망이나 자연사가 아닌 외부 요인 또는 법정감염병에 의한 사망자를 합한 수치다.

안전사고 사망자 수는 지난 2015년 3만1582명에서 2016년 3만944명, 2017년 2만9545명으로 감소세를 이어오다 지난해 다시 증가했다.

이는 자살과 법정감염병 사망자 수가 대폭 증가한 것이 안전사고 사망자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이다.

실제로 지난해 자살 사망자 수는 1만3670명으로 전년보다 1207명(9.7%) 늘었는데 10대와 30~40대, 60대에서 크게 증가했다. 10대는 정신적, 30~40대는 경제적, 60대 이상은 육체적 질병 문제가 자살 동기인 것으로 분석됐다.

감염병 사망자 역시 3071명으로 680명(28.4%)이 증가했다. C형 간염(152명)의 법정감염병 편입과 인플루엔자 사망자 급증이 주요 원인이었다.

안전사고 사망자가 증가한 반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4년 연속 줄어들었다.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3529명으로 전년보다 408명(10.4%) 줄었다.

또한 5대 범죄 발생 건수와 화재 발생 건수도 각각 1만3191건(2.7%)과 1914건(4.4%) 감소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는 화재, 범죄, 생활안전은 양호한 수준이지만 교통사고·자살·감염병 분야 사망자 수는 OECD 평균보다 높았다. 특히 자살 분야는 OECD 평균과 2배 이상 차이가 났다.

광역자치단체 중 지역안전지수 분야별 1등급 지역은 ‘교통사고’는 서울·경기, ‘화재’는 광주·경기, ‘범죄’는 세종·경북, ‘생활안전’은 부산·경기, ‘자살’은 서울·경기, ‘감염병’은 광주·경기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광주는 교통, 화재, 감염병 3개 분야에서 2개 등급 이상을 개선해 광역단체 중 유일하게 하위등급(4·5등급)이 없었으며 화재(3→1등급)와 감염병 분야(4→1등급)는 1등급으로 상승했다.

경기도는 5개 분야(교통사고, 화재,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가 1등급이었고 이 중 4개분야는 5년 연속 1등급을 차지했다.

반면 최하위 5등급 지역은 ‘교통사고’의 경우 세종·전남, ‘화재’는 세종·경남, ‘범죄’는 서울·제주, ‘생활안전’은 세종·제주, ‘자살’은 부산·충남, ‘감염병’은 대구·강원이었다. 이외에도 제주(생활안전, 범죄)와 세종(화재), 전남(교통사고), 부산(자살)은 특정 분야에서 5년 연속 5등급에 그쳤다.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시 단위의 경우 수원시가 범죄와 자살을 제외한 4개 분야에서 1등급이었고 군 단위는 부산 기장군이 범죄를 제외한 5개 분야에서, 구 단위는 서울 송파구가 교통사고·범죄를 제외한 4개 분야에서 1등급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기초자치단체 43개 지역은 3개 분야 이상에서 등급 개선을 이뤄냈다. 전남 곡성(교통)과 경북 영양(화재)은 5등급(최하)→1등급(최상)으로 크게 상향됐고 전남 보성은 감염병을 제외한 5개 분야에서 등급 상승을 이뤄내면서 전반적인 안전수준을 높였다.

지역안전지수는 지자체의 안전관리 책임성을 강화하고 자율적인 개선을 유도하기 위해 2015년부터 공개하고 있다.

이번 결과는 행안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나 생활안전지도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지역안전지수는 지역의 안전수준을 과학적·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제대로 개선해 나가기 위한 것”이라며 “보다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지자체 차원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