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광주 북구 옛 광주교도소 인근에서 무연분묘(교도소 내에서 숨졌으나 연고가 없는 사람의 분묘) 이장 작업 중 유골 수십구가 발견돼 신원 확인 작업을 벌이고 있다. 옛 광주교도소는 지난 1980년 5·18 당시 희생자가 암매장 됐다는 증언이 이어져 발굴작업이 진행되기도 했다. <사진=뉴시스>

[공공뉴스=김수연 기자] 5·18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자 암매장지로 지목된 옛 광주교도소 부지에서 유골 40여구가 발견되면서 5·18과의 연관성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법무부와 광주시는 옛 광주교도소를 찾은 자리에서 부지 내 무연고 묘지 개장 작업 중 신원미상의 유골 40여구를 발굴했다고 20일 밝혔다.

김오수 법무부장관 대행과 문찬석 광주지검장 등 관계자는 이날 현장을 찾아 확인 작업에 들어갔다.

유골이 발굴된 곳은 법무부가 솔로몬로파크 조성사업을 추진하는 대상 부지로, 무연고 묘지가 일부 포함된 장소다. 공동묘지 개장 작업은 지난 16일부터 이날까지 이뤄졌다.

무연고자 공동묘지는 교도소 안에서 사망했으나 가족 등 연고가 없어 매장하는 곳으로, 2년 이내 시신을 인도할 사람이 없으면 화장 또는 합장하는 방식으로 관리됐다. 현장에서 발굴된 유골은 함평 국군통합병원에 안치된 것으로 전해졌다.

법무부에 따르면, 무연고자 공동묘지에는 개인 묘 50기와 합장묘 2기 등 총 111구의 유골이 관리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 개장 과정에서 법무부가 관리하지 않는 40여구의 유골이 추가로 발견됐다는 것.

법무부 관리 묘지는 개인묘가 52기, 각 41명과 20명이 묻힌 합장묘 2기다.

이 113구의 유골 이외에 40여구가 추가로 발굴됐다는 점에서 5·18당시 암매장된 행불자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김 대행은 “법무부가 관리하지 않은 유골이 발견됐기 때문에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확인·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어떤 연유로 관리되지 않은 유골이 교정부지 내에 묻히게 됐는지 연유를 확인하는 것이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즉, 현재로서는 5·18과 관련이 있는지 속단하기 어렵지만 가능성은 확인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법무부는 국방부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협력해 육안검사와 DNA 검사 등을 통해 정확한 신원을 확인할 방침이다.

5·18단체 한 관계자는 “솔로몬로파크 조성사업을 위해 무연분묘 개장을 하면서 나온 것이라면 5·18 당시 암매장과는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본다”면서도 “행불자 가족 등의 유전자 정보와 비교하면 신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광역시도 5‧18과 관련성을 부인했다. 광주시는 “시신이 발견된 장소는 1970~1971년 당시 사형이 집행된 사형수와 장기 수감 사망자, 무연고자 시신의 합장묘 형태의 묘소”라며 “5·18 희생자와는 무관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했다.

한편, 5·18사적지 22호인 옛 광주교도소 부지는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과 계엄군의 주요 격전지이자 민주인권 투사가 투옥돼 고문당하던 장소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