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전체 실업자 중 21.6% 차지..덴마크-멕시코-미국 順
전문가 “대·中企 간 임금 격차 및 신규 고용 꺼리는 기업 때문”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공공뉴스=정혜진 기자] 우리나라 실업자 중 20대 후반이 차지하는 비중이 7년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을 유지했다. 

13일 OECD 통계에 따르면, 2018년 한국 전체 실업자 중 20대 후반(25~29세)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1.6%로 OECD 36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덴마크가 19.4%로 2위를 차지했고, 3위는 멕시코(18.2%)였다. 미국은 13.0%, 일본 12.6%, 독일 13.3% 등 순이었다. 

한국의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20대 후반 비중은 7.8%에 불과하다. 하지만 실업자 5명 중 1명은 20대 후반인 셈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7년 동안 20대 후반 실업자 비중이 OECD 국가 중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011년 그리스와 슬로베니아가 각각 20.8%로 우리나라(20.1%)보다 높았지만, 이듬해부터 상황은 역전됐다. 

이들 국가의 20대 후반 실업자 비중은 2012년 들어 그리스가 18.7%, 슬로베니아는 19.9%로 하락한 반면 우리나라는 제자리에 머물며 현재까지 최고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취업 시장에 뛰어드는 연령대에서 실업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이런 현상에 대해 정도가 짙다는 평가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가 커 청년들이 구직 기간이 길어지더라도 대기업에 들어가길 원하며, 기업 입장에서는 대졸 초임이 높고 노동 유연성이 낮은 신규 고용을 꺼리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통계청이 지난해 말 공개한 ‘2017년 임금근로 일자리별 소득(보수) 결과’를 살펴보면 2017년 중소기업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223만원으로 대기업(488만원)의 45.7%에 불과했다.

또한 일본처럼 청년 인구가 감소하더라도 실업 문제는 해소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한국과 일본의 청년실업 비교분석 및 시사점’ 논문에서 “회귀분석 결과 20대 청년 인구 비중이 높을수록 청년실업률은 낮게 나타났다”면서 “청년 인구가 감소하는 경제에서는 시장도 줄어들어 청년실업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