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일 때, 연령 높을수록 더 높게 나타나..원인 1위는 ‘의료비·경조사비 등 지출 발생’

<사진=뉴시스>

[공공뉴스=김소영 기자] 직장인 5명 중 2명은 지난해 ‘적자’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번 것에 비해 쓴 돈이 많다는 응답이 36.2%로 높게 나타난 가운데 번 돈이 쓴 돈보다 많아 ‘흑자’라는 응답은 20.3%로 이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잡코리아가 알바몬과 함께 직장인 1987명을 대상으로 ‘2019년 소득-지출 결산’을 주제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먼저 지난해 총소득과 지출을 정산, ‘2019년 결산은 흑자인지’를 물은 결과 43.5%의 직장인이 “딱 번만큼 썼다”고 답했다. ‘소득보다 더 많이 써서 적자’라는 응답 역시 36.2%로 높게 나타났으며 ‘지출보다 소득이 높아 흑자’라는 응답은 절반 수준인 20.3%에 그쳤다. 

지난해 소득결산이 ‘적자’라는 응답은 미혼보다는 기혼일 때, 연령이 높을수록 더 높게 조사됐다.

적자라는 응답은 기혼자에게서 42.3%로 미혼 직장인의 31.8%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았다.

연령에 따라 살펴보면 40대 이상 직장인은 42.9%가 ‘적자’라고 답해 20대 직장인 19.6%에 비해 2배 이상 비중이 높았다. 또 자녀가 없는 직장인(31.8%)보다 있는 경우(44.4%), 남성(32.2%)보다는 여성(40.1%)에게서 ‘소득결산이 적자’라는 응답이 높았다.

그렇다면 지난해 직장인들이 적자를 내게 된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1위는 ‘의료비, 경조사비 등 예측하거나 아낄 수 없는 지출 발생’(24.3%)이 꼽혔다. ‘물가인상’(18.3%)과 ‘휴직, 퇴사 후 이직까지의 공백기 등 소득 공백’(15.1%)이 각각 2, 3위를 차지했다. 

‘연봉 등 임금소득 감소’와 ‘잦은 여행, 충동구매 등의 소비습관’이 나란히 14.6%의 응답을 얻어 지난해 적자를 낸 이유 공동 4위에 자리했다.

이외에도 ‘양가 부모님 등 부양가족에 대한 지출 증가’ ‘집값 하락 등 부동산 소득 감소’ ‘대출금 상환’ ‘전세금 인상’ ‘이사’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연령별로 적자 사유를 살펴보면 40대 이상(29.0%), 30대(22.9%) 직장인은 모두 ‘예측불가능하고 아낄 수 없는 지출’을 1위에 꼽은 반면 20대는 ‘소비습관’(34.3%)을 1위에 꼽아 차이를 보였다.

반면 지난해 흑자를 냈다고 밝힌 직장인들은 그 비결로 ‘계획적인 지출 등 지출 감소’(34.3%)를 1위에 꼽았다. ‘연봉 등 임금소득 증가’(21.6%)와 ‘투잡, 아르바이트를 통한 부수입’(16.9%), ‘주식, 저축이자 등 금융소득’(9.5%), ‘맞벌이’(6.5%) 등도 소득이 지출을 앞선 주요 비결로 꼽혔다. 

지난해 개인적인 경제사정이 그 전과 비교해 나아졌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직장인 절반이 ‘별 변화가 없었다’(51.6%)고 답했다.

‘나빠졌다’(32.0%)는 응답은 ‘좋아졌다’(16.4%)는 응답의 약 2배로 나타났다. 그러면서도 직장인들은 올해 경제사정이 전년보다는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도 내비쳤다.

올해 개인 경제 전망에 대해선 ‘별 변화 없을 것’이란 응답이 41.7%로 가장 높았고 ‘더 좋아질 것’(33.3%)이란 응답이 ‘더 나빠질 것’(25.0%)을 소폭 앞섰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