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국가기술표준원, 법적 안전기준 위반 50개 제품 적발해 리콜 명령

사진은 기사 내용 무관함. <사진=뉴시스>

[공공뉴스=이민경 기자] 의류, 물놀이 기구, 장난감 등 어린이 여름용품 50개 제품이 법적 안전기준에 부적합해 수거명령 조치됐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국표원)은 다가오는 여름 휴가철에 앞서 전국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유통되는 유·아동 여름의류, 물놀이기구, 장난감(물총, 비눗방울놀이 등) 등 총 17개 품목 719개 제품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실시한 결과, 유해 화학물질, 제품 내구성 등 법적 안전기준을 위반한 50개 제품을 적발했다고 29일 밝혔다. 

국표원은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두 달간 안전성 조사를 실시했으며, 적발된 제품 사업자에 대해 수거 등 명령(제품안전기본법 제11조, 어린이제품 안전특별법 제10조)하고 해당 제품을 대외 공표했다. 

또한 KC마크, 제조년월, 사용연령과 같은 표시 의무 등을 위반한 106개 제품에는 수거 등(개선조치 포함)을 권고했다.  

리콜명령 대상 50개 제품의 주요 결함 내용을 살펴보면 엠케이가 판매한 해바라기 꽃 가죽 샌들 유아 보행기화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1000ppm)를 700배 초과했고, 이투컴의 스포티노 아동 레인부츠에서도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의 360배 초과해 검출됐다. 

또한 제이플러스교역이 판매한 수영복(모델명 BBSH9503K)는 300배가 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물론, 납·카드뮴 기준치도 각각 4배, 7배 초과했다. 이처럼 모두 17개 제품이 유해 화학물질 기준치를 초과해 적발됐다.   

이밖에 끼임사고 방지를 위해 제품 외부에 노출된 끈의 길이를 제한하는 코드 및 조임끈 안전기준 위반을 위반한 어린이 바지, 잠옷, 치마 등 10개 제품도 적발돼 리콜 조치됐다.

아성에이치엠피가 판매한 어린이용 우산(동물모양입체어린이우산·1020634)의 경우 우산 안쪽 꼭지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의 370배 초과 검출되는 등 5개 제품이 유해 화학물질 기준치를 위반했다. 

물놀이 튜브 6개 제품은 공기실 용량 기준에 20~45% 미달해 쉽게 가라앉거나, 두께가 기준치보다 10~25% 얇아 찢어질 위험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적발된 업체와 제품은 ㈜두로카리스마(체리튜브), ㈜플레이위즈(피요르드 아이스크림 튜브) 등이다. 

아울러 플레이지의 방수 카메라 완구(myFirstCamera2)가 납 기준치를 78배 초과하는 등 6개 제품이 유해 화학물질 기준치를 위반했으며, 동인에스엠티의 영·유아용 목욕놀이 1개 제품(워터슬라이드목욕놀이)은 법적 허용치 이하의 작은 부품이 포함돼 어린이가 삼킬 우려가 있었다.  

그 외, 감전보호가 미흡하고 부품도 무단변경한 전기 살충기 1개, 표면온도를 초과한 휴대용 그릴 1개 등 5개 제품이 법적 안전기준에 부적합해 리콜조치됐다.  

리콜명령대상 제품목록 일부.
리콜명령대상 제품목록 일부. <자료=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국표원은 이번 리콜 명령을 내린 50개 제품의 판매를 원천 차단조치하기 위해 국표원 제품안전정보센터 및 공정위 행복드림에 제품정보를 공개하는 한편, 제품안전 국제공조 일환으로 OECD 글로벌리콜포털에 등록하였다. 

이와 함께 위해상품판매차단시스템에도 등록하고 소비자·시민단체 및 품목별 유관부처와 연계하여 리콜정보 공유 등의 홍보강화로 리콜제품이 시중에서 유통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감시·조치할 예정이다.  

국표원은 수거되지 않은 리콜제품이 발견되면 국민신문고 또는 한국제품안전관리원으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리콜제품을 사용 중인 소비자는 제조·수입·판매사업자로부터 수리·교환·환불 등의 조치를 받을 것도 요청했다. 

이승우 국표원장은 “최근 위해제품 유통에 취약한 온라인몰 소비가 급증하는 가운데, 금번 조사에서도 온라인몰 유통제품의 부적합률이 33%(오프라인 약 12%)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정부도 온라인 상 불법․불량제품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6개 소비자단체와 공동으로 온라인몰 전담 모니터링 요원을 3월부터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온라인몰 유통제품의 안전성조사 확대, 위해상품판매차단시스템 등을 통해 온라인 제품 안전관리를 지속 강화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