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뉴스=박수현 기자] 이동통신사의 역할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휴대폰 본인인증 앱으로 신분을 인증해 편의점에서 맥주를 사거나 운전면허시험장에서 신분증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물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확진자 동선을 파악하고 추가적인 밀접촉자를 찾아내고 있는 것. 이와 더불어 앞으로는 지진관측소의 역할도 맡게 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기상청·경북대학교와 손잡고 한반도의 지진 탐지 및 경보체계와 연계할 수 있는 ‘지진관측 네트워크’를 시범 구축한다. <사진제공=SK텔레콤>

10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기상청·경북대학교와 손잡고 한반도의 지진 탐지 및 경보체계와 연계할 수 있는 ‘지진관측 네트워크’를 시범 구축한다.

SK텔레콤은 전국에 분포한 기지국, 대리점 등 3000여 곳에 지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기상청의 지진관측시스템과 연동해 지진에 대응할 수 있는 ‘지진관측 네트워크’를 국내 처음으로 만든다. 이는 통신사 기지국을 활용한 첫 사례다.

또한 연내 파출소, 초등학교 등 8000여 곳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기상청은 전국 338개 지진관측소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지진이 관측되면 7~25초 내에 지진조기경보를 발령한다. 또 초당 100회의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밀 분석을 통해 일반 진동과 지진을 구분하도록 설계돼 있다.

SK텔레콤과 협력으로 지진관측 자료가 보강되면 보다 정확한 정보 제공과 조기경보 시간 단축이 가능해진다. 통상 지진파(S파)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이 5초라면 책상 아래 등 근거리 대피가 가능하고 10초 이상이면 건물 밖 대피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앞으로 지진감지센서에 24시간 실시간으로 관측되는 진동 데이터, 기압 등을 SKT 수집서버로 분류해 기상청에 보낸다.

기상청 관계자는 “SK텔레콤과 협력을 통해 지진 관측 자료가 추가되면 보다 정확한 진도정보 생산과 지진조기경보 시간 단축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최근 이통3사가 협력한 재난로밍 구현 등 재난상황에 대비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기상청, 경북대와 협력을 통한 지진관측 네트워크 구축을 비롯해 앞으로도 5G시대에 통신사가 보유한 다양한 인프라를 활용해 사회적 가치창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기상청은 제공받은 진동 데이터를 국가 지진관측망과 융합해 진도정보생산, 지진조기경보 분석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를 추진 중이다.

SK텔레콤·기상청·경북대는 국가 지진대응체계 고도화를 위한 연구를 오는 2021년까지 추진한다. 기상청은 SKT 기지국 내 설치된 지진감지센서의 진동 데이터를 기상청의 지진 관측 자료와 비교해 지진 분석의 성능을 검증하고 지진정보 서비스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SK텔레콤 기지국이 통신망 뿐 아니라 지진관측소 역할까지 맡게 돼 기대 섞인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코로나19 사태 속 통신사의 역할도 주목받고 있다.

최근 방역당국이 이태원 클럽발 코로나19 집단감염으로 2000여명 가량이 연락이 닿지 않아 지국 정보를 활용해 추적하기도 했다.

이통3사는 기지국과 휴대폰 통신 내역을 분석해 특정기간, 특정 지역 내 30분 이상 체류 등을 조건으로 명단을 추출해 전달했다. 이로 인해 코로나19 확진자를 조기 발견, 감염 확산을 방지할 수 있었다.

아울러 SK텔레콤, KT, LG유플러 등 이통3사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지갑 속의 운전면허증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통3사는 지난달 24일 ‘패스’(PASS) 앱을 이용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자신의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를 개시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 확인 서비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해 9월 규제 샌드박스 심의를 통해 임시 허용한 이후 처음 실생활에 적용된 것.

운전면허가 있는 고객이 패스 앱을 통해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 서비스 이용 약관에 동의한 후 인증을 거쳐 자신의 면허증을 카메라로 촬영하면 패스 앱 내에 고객의 운전면허 정보가 QR코드나 바코드 형태로 저장해 사용가능하다.

한편, 일각에서는 통신사의 역할이 늘수록 개인 정보유출의 부작용과 사생활이 과도하게 침해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