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기업 등 경제주체들, 대출 늘렸지만 소비나 투자보다는 예금으로 쌓아둬..향후 통화·재정정책 방향 설정 난감

<사진=뉴시스>

[공공뉴스=박수현 기자] 올해 상반기 예금이 사상 최대 규모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정부가 유동성(자금)을 풀었지만 자금 중 상당 부분이 은행 금고로 되돌아간 것.

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은행 수신이 1858조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08조7000억원 급증했다. 상반기 기준으로 은행 수신이 이처럼 빠르게 증가한 것은 처음이다.

월별로 보면 코로나19 사태 직후인 2월 35조9000억원 수신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3월 33조1000억원, 5월에 33조4000억원이 상승했다.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비교적 안정세를 찾은 6월엔 18조6000억원 늘었다.

1~6월까지 은행의 기업·자영업자 대출은 총 77조7000억원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도 40조6000억원 늘었다. 이처럼 은행 수신이 가파르게 불어난 것은 대출이 늘어나서다.

올해 상반기 가계·기업 대출이 118조3000억원 늘어나는 사이 은행 수신이 108조7000억원 증가했다. 경제주체들은 위기 상황에 대출을 늘렸지만 소비나 투자보다는 예금으로 움켜쥐고 있다는 것이 한국은행의 설명이다.

은행에서 늘어난 수신 종류를 보면 늘어난 은행 수신 108조7000억원 중 107조6000억원이 수시입출식 예금이며, 정기예금은 같은 기간 오히려 2조3000억원 줄었다.

코로나19 국면에 가계 저축이 급증하면서 정부도 딜레마에 빠진 모습이다. 향후 통화·재정정책 방향 설정이 난감해졌기 때문.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지난 24일 열린 제18차 혁신성장 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에서 “일각에서는 수요 부족보다 안전한 소비가 어려운 문제”라며 화두를 꺼낸 바 있다.

안전한 소비의 이면에서 늘어난 가계저축이 있는데 봉쇄조치가 종료되면 자연스럽게 해소될 단기적인 성격의 저축인지 미래의 불확실성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쌓아놓는 저축인지 알 수 없다.

기재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저축 증가가 단기가 아닌 중장기적인 성격의 자금 비축이라면 소비 활성화 대책의 강도도 더 높게 끌어올려야 하지만 현재로선 늘어난 저축의 성격을 가늠하기 어려워 추가 대책의 강도를 가늠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편, 코로나19 상황에서 저축이 늘어나는 것은 국내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은 아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코로나19 국면에서 가계 저축이 급증하면서 정부·중앙은행이 앞으로 통화·재정정책을 어떻게 구사해야 할지 난감해졌다고 보도한 것.

정부는 향후 정책 구사에 있어서 매우 곤혹스러운 상황에 놓였다. 가계가 소비 여력이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부양책을 구사하면 경제가 과속의 영역으로 접어든다. 반면 부양책을 쓰지 않으면 다시 악순환의 고리에 빠질 수 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