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급증..정부당국 현재 1단계서 상향 가능성 시사
15~17일 ‘광복절 황금연휴’ 최대 고비 전망..선제적 대응 목소리도 ↑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공공뉴스=김소영 기자] 소강 상태로 접어들었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가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다시 급증함에 따라 방역당국이 사회적 거리두기 상향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당국은 코로나19 확산세를 잠재우기 위해 더욱 고삐를 죄고 있지만, 그러나 여름 휴가철과 광복절 황금연휴 기간 등이 겹친 이번 연휴가 최대 고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1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코로나19 국내 재확산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이날 정 총리는 “다소 안정되는 모습이었던 국내 감염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면서 “최근 4일간 수도권 확진자만 150명을 넘었고, 이는 국내발생 확진자의 83%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 학교, 패스트푸드점 등 생활과 밀접한 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확진자가 발생해 지역감염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장마와 휴가철을 맞아 이완된 분위기에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여러 곳에서 제대로 지켜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어렵게 이어가고 있는 방역과 일상의 균형이 무너지지 않도록 우리 모두가 더욱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정 총리는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상향을 시사하기도 했다. 현재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를 시행 중이지만,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더 악화될 경우 수도권을 대상으로 2단계로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경고다.  

또한 그는 “3일간의 연휴를 앞두고 있어 우려가 더 크다. 한시도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 ”며 “국민들께서는 이번 연휴기간 동안 어느 곳에 계시든, 무엇을 하시든 방역수칙만은 철저하게 지켜주시를 특별히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앞서 전날(13일) 방역당국도 최근들어 수도권에 빠르게 번지고 있는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심각성을 드러낸 바 있다. 

권준욱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의 상황을 5월 발생한 이태원 집단감염 당시보다 ‘심각한 위기’라고 진단했다. 

권 부본부장은 “현재 서울 수도권 상황은 5월 초 발견됐던 이태원의 유흥시설 등을 포함한 상황보다도 더 심각한 실제 위기 상황”이라며 “이번 연휴기간 집단 감염이 확산돼 연결고리가 수도권 안팎으로 이어진다면 사회적 거리두기 상향 조치는 불가피할 수 있다”고 전했다. 

<사진=뉴시스>

이날 오전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는 전날 대비 103명 늘어난 1만4873명으로 집계됐다. 

신규 확진자의 감염 경로를 살펴보면 지역 발생이 85명, 해외유입이 18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서울에서 31명, 경기에서 38명 등 수도권에서 69명이 발생했다. 

이밖에 부산 5명, 인천 3명, 충남 3명, 광주 2명, 울산·강원·경북에서는 각 1명씩 확진자가 추가됐다.

전날 오전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확진자는 56명이었다. 이 중 국내 발생 확진자가 47명이었으며, 서울과 경기에서만 각각 25명, 16명이 집중적으로 발생한 바 있다. 

문제는 1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주말을 포함해 3일간 쉴 수 있는 ‘광복절 황금연휴’가 생기면서 수도권 인구가 타 지역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 

뿐만 아니라 서울시의 집회 금지 행정명령에도 일부 단체들이 광복절 집회를 강행하기로 하면서 수도권 내 확진자 폭증에 대한 우려감도 커지는 상태다. 

이와 관련, 정 총리는 “집회의 자유는 존중돼야 하지만, 엄중한 코로나19 상황에서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서울시에서는 엄정하게 대처해 주시기 바란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이처럼 코로나19 확산 공포가 다시 불어닥치자 일각에서는 더 늦기 전에 방역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식 뒷북 행정보다 선제적 대응을 통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는 환자 발생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