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 수수료 낮고 매출 효과 큰 라방..전방위적 확산
삼성·LG전자, MZ세대 소통 위한 라이브 커머스 확대
일부 라방서 부당·과장광고..피해는 오롯이 소비자 몫

[공공뉴스=이민섭 기자] 가전업계가 새로운 유통채널의 핫 키워드인 ‘라이브 커머스 방송’ 이른바 라방 경쟁에 불이 붙었다.

라방은 온라인 쇼핑에 영상을 더한 콘텐츠로 영상정보에 익숙한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 출생한 ‘Z세대’를 아우르는 말)를 대상으로 한 콘텐츠를 통해 판매자와 고객의 실시간 소통을 중심으로 제품을 판매하는 방식이다.

특히 홈쇼핑 등 다른 유통 채널보다 판매 수수료가 낮고, 매출 효과가 크다는 장점이 있다. 과거 미용과 식품, 생활필수품 등 저가 상품 위주로 다소 낮은 연령층을 주요 고객으로 운영됐지만, 최근 부동산과 은행, 게임업계 등 전방위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상황.

더욱이 국내 가전업계의 대표 격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자체 채널을 운영하며 라방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라방을 통해 과장 광고가 성행하는 등 소비자 피해도 늘어나면서 규제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사진=공공뉴스DB
사진=공공뉴스DB

◆가전업계, MZ세대 위한 라방 열전

17일 삼성전자는 지난달 가정간편식(HMR) 조리기기 ‘비스포크 큐커’ 신제품 출시 행사를 라이브커머스 방식으로 진행, 누적 시청자 수는 48만명을 기록했다. 삼성이 라이브커머스로 신제품 출시 행사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지난해 11회에 그쳤던 라방을 올 상반기에만 48회로 약 5배 이상 늘렸다.

LG전자도 최근 무선 프라이빗 스크린 제품 ‘LG스탠바이미’ 1차 예약판매를 온라인 브랜드숍에서 라이브커머스로 진행했다. 특히 프리미엄 제품군인 오브제컬렉션 냉장고를 비롯해, 에어컨, 스타일러 등을 라방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이에 LG전자의 올 상반기 라방 횟수는 지난해 하반기보다 3배 이상 늘었다.

국내 중소 가전업체들은 지난해부터 일찌감치 라방에 뛰어들었다. 휴롬은 지난해 2회에 불과한 라방을 올 상반기 7회 진행했다. 특히 매회 200~300대 한정 물량을 판매하며 전량 매진 기록을 이어갔다. 이밖에 SK매직은 지난해 6월을 시작으로 매주 자사 몰을 통해 ‘매직라이브쇼’를 진행하고 있으며, 신일과 쿠쿠전자 등도 라방 마케팅을 통해 MZ세대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이처럼 가전업계가 라이브커머스를 통한 판매 확대에 열을 올리는 것은 당장 구매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소비자의 궁금증 해소와 제품 구매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실제 사용하는 모습을 통해 제품의 특징과 장점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기 때문.

사진=공공뉴스DB
<사진=공공뉴스DB>

◆부당·과장 광고에 소비자 피해 늘어..규제 마련 시급

가전업계뿐만 아니라 기존 유통업체에 다양한 판로 확보를 제공하는 라방이 일부 과장 광고가 성행하면서 규제에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일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서 진행된 라방에서 과채음료, 식품이 질병 치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처럼 부당 광고한 업체들이 무더기로 적발됐기 때문.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라이브커머스 플랫폼 12곳을 점검해 부당 광고 21건을 적발하며 관계기관에 게시물 삭제, 행정처분 등을 요청했다.

라방은 방송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과장광고를 할 위험이 높은 반면, 현행법으로 소비자 피해 발생 시 책임 소재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양정숙 무소속 의원은 라이브커머스 사업자가 방송을 녹화 등으로 보존, 소비자가 해당 영상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상거래법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다.

또한 공정거래위원회는 관련 법 개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관들도 라방 시장 규제 가능성에 대한 연구 용역을 추진하는 등 라방 플랫폼 규제를 위한 관련 제도 정비에 나섰다.

한동호 우석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사업이 발전하면서 이용자 보호를 위한 규제는 필수다. 규제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피해자는 그만큼 늘어갈 것”이라며 “산업 발전도 중요하지만 규제 공백에 따른 소비자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정부의 규제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