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뉴스Q

기사검색

본문영역

공공돋보기

[공공돋보기] “또 당했어”..갑질 속 병드는 우리 사회

2020. 10. 26 by 이승아 기자

[공공뉴스=이승아 기자] 한국사회 전반에서 일상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갑질 사건이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는 가운데 최근 인기 아이돌 멤버가 갑질 논란에 휩싸이면서 시선이 집중됐다.  

한 아이돌 그룹 스타일리스트의 폭로가 온라인과 SNS 등을 통해 삽시간으로 퍼져나갔고, 갑질을 한 당사자로 꼽힌 멤버에게 뭇매가 쏟아진 것.

인간은 누구나 동등하며 존중받아야 하는 존재. 때문에 우리 사회에서 갑질 사건은 상당히 예민한 이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잊을 만 하면 터지는 갑질 논란에 대중들은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에디터 출신 스타일리스트 A씨는 지난 20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을’의 위치에서 한 사람에게 철저하게 밟히고 당하는 경험을 했다”며 한 연예인으로부터 갑질을 당했다고 폭로했다. 

A씨는 갑질을 한 연예인에 대해 “의자에 앉아 서 있는 내 면전에 대고 삿대질하며 말을 쏟아냈다”면서 “낯선 방에서의 지옥 같은 20여분” “혀로 날리는 칼침” 등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이 같은 A씨 게시글은 네티즌들의 엄청난 분노를 불러 일으켰다. 당시 A씨는 갑질을 한 연예인이 누구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다만 레드벨벳의 곡 ‘사이코’(psycho)와 멤버 아이린·슬기의 곡인 ‘몬스터’(monster)를 해시태그하면서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두 멤버 중 한명이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됐다. 

이후 갑질을 한 연예인은 아이린으로 밝혀졌고, 논란이 커지자 아이린은 A씨에게 사과했다.

아이린은 SNS에 올린 사과문에서 “저의 어리석은 태도와 경솔한 언행으로 스타일리스트에게 마음의 상처를 드려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앞으로는 이런 일이 없도록 더욱 신중히 생각하고 행동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아이린의 사과에도 일각에서는 여전히 따가운 시선을 보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한 택배회사 택배기사가 대리점의 갑질로 인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도 발생해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40대 택배기사 B씨는 대리점의 갑질과 생활고에 시달리다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택배기사의 근로환경과 처우 관련 문제는 최근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언급될 정도로 사회적 문제로 꼽히고 있다. 여기에 갑질과 생활고로 극단적 선택을 한 B씨의 사연까지 더해지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아르바이트생들 역시 갑질 피해에서는 예외일 수 없다. 아르바이트 포털 알바몬에 따르면, 알바생 2279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무려 75.5%가 “알바 중 갑질 경험을 당해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대략 5명중 4명이 갑질을 당한 셈이다.

언제부턴가 유행처럼 번진 ‘손님이 왕이다’라는 문구는 손님에게 갑질 할 수 있는 정당한 기회를 부여했다.

특히 갑질 피해자 다수는 감정노동자들이다. 감정노동은 자신이 실제 느끼는 감정과 무관하게 조직에서 요구하는 감정으로 사람을 대하고 직무를 수행하는 일로, 감정·서비스직노동자들은 무조건적인 친절과 항상 미소 지을 것을 강요받기 일쑤다. 

이와 관련 이정미 정의당 연수구위원장(전 국회의원)은 2017년 ‘감정노동자 보호법’을 발의한 바 있다. 많은 감정노동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발의된 이 법안은 이듬해 10월부터 시행됐다.

감정노동자 보호법은 고객 응대 과정 중 일어날 수 있는 폭언·폭행 등으로부터 감정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이다. 

감정노동 근로자가 고객의 폭언·폭행 등으로 얻게 되는 건강장해로부터 보호하는 사업주의 예방조치가 핵심이다. 또 근로자가 건강장해가 발생할 경우에 사업주에게 업무 일시 중단이나 전환요구가 가능하다.

그러나 현재 불공정한 사회에서 이 법안은 기대보다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상황.

갑질을 당하는 사람은 대부분 사회적 약자로 2차 피해를 입는 경우도 허다해 관련 법들이 제정되도 갑질 행태가 줄어드는 효과도 크게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사회에서 갑질은 만연하게 벌어지며 이미 오랫동안 행해져 자리잡아 문화가 됐다. 특히 단체, 집단 내에서 고착된 수직적 상하관계가 개선되지 않는다면 한국은 ‘갑질 공화국’이라는 오명을 벗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