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뉴스=강현우 기자] 중국의 체면이 말이 아니게 됐다.

그동안 중국은 북한과의 관계 회복을 모색하면서 국제사회를 향해서는 대화를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하지만 북한이 지난 29일 새벽 미사일 도발을 감행하면서 이런 중국의 기조가 무색해진 모습이다. 더욱이 중국 공산당 중요 국제 행사까지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한마디로 북한이 뒷통수 제대로 친 격이다.

국제사회에서는 북한에 대한 주국의 영향력이 예전만 같지 않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과거 중국은 북한을 컨트롤할 수 있는 국가였지만 이제 북한은 중국의 그림자에서 벗어나려는 모습이 강하게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김정은 체제 들어오면서 이런 경향이 강해진 듯 보인다. 중국은 북한과의 대화를 내세우고 있지만 결과적으론 체면만 구긴 셈이다.

더욱이 미국과 일본이 북한에 대해 보다 경력한 제재를 요구하고 있는 시점에서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하면서 중국의 국제사회의 입지는 더욱 좁아질 수 밖에 없다.

사실 북한이 중국을 외면(?)하고 있다는 것은 얼마 전 고스란히 드러났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북한에 특사를 보내 북중 관계 회복을 모색하려 했지만 특사는 김정은을 만나지도 못하고 빈손 귀국을 해야만 했다.

또한 중국은 북한이 75일간 도발을 하지 않으면서 한반도 정세가 안정됐다고 판단, 6자 회담 재개를 모색했다. 그러나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감행하면서 6자 회담 재개는 쉽지 않게 됐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 국제사회에서는 북한이 중국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이제는 러시아 영향권에 들어가려고 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김정일 체제가 중국 영향권에 있었다면, 김정은 체제는 중국의 영향권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행보가 이어질 것이란 예상도 이어지고 있다.

이제 중국이 앞으로 어떤 행동을 취하느냐가 가장 중요한 문제가 됐다.

원유 공급 중단 등 국제 사회의 대북 추가 제재 압박 등에 대해 국제사회는 중국이 북한에 대한 보다 강력한 제재 조치를 내려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아직까진 묵묵부답이다.

시진핑 집권 2기를 맞이해 대북 관계를 어떤 식으로 이어나갈 지, 지금은 중국의 확실한 선택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듯 보인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