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뉴스Q

기사검색

본문영역

공공돋보기

신입생 충원난 심화..서울 등 쏠림 현상에 지방대 더 ‘심각’ “교육 불만족시 등록금 전액 환불” 파격 실험 나선 세명대 지역 소멸 가속화 우려..과감 자체 혁신, 지역사회 노력 필요

[공공돋보기] 위기의 지방대, 혁신 생존전략

2023. 04. 28 by 김소영 기자

[공공뉴스=김소영 기자] 전대미문의 최하위 출생률로 대한민국은 현재 학령인구 감소를 겪고 있는 상태다.

이에 따라 국내 대학교들은 신입생 충원난을 겪고 있고, 특히 서울·경기 등 수도권으로의 쏠림 현상까지 가속화되면서 지방대의 존폐 위기론도 현실화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생존을 위한 지방대의 몸무림은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신입생 전원에게 장학금, 스마트기기 구입 지원금 등을 내걸고 유치전을 벌이는가 하면 ‘교육 불만족시 등록금 전액 환불’이라는 파격적인 조건을 내세운 곳도 생겨났다. 

권동현 세명대 총장이 지난 2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세명대학교 등록금 책임환불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권동현 세명대 총장이 지난 2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세명대학교 등록금 책임환불제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국내 최초 ‘등록금 책임환불제’..교육의 질 높인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교육 불만족으로 자퇴하는 학생들에게 등록금을 전액 환불해주겠다는 정책을 내세운 대학교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충북 제천에 위치한 사립 4년제 세명대학교가 그 주인공.

최근 수도권 대학 쏠림 현상이 심화되면서 신입생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대의 파격 실험이라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28일 세명대에 따르면, 오는 2024학년도부터 입학하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등록금 책임환불제’를 시행한다.

대부분 대학은 학생이 자퇴할 경우 수업 받은 기간에 따라 등록금을 차감해 반환하고 있다. 그러나 세명대는 입학 후 교육에 만족하지 않는 등 이유로 자퇴하는 학생들에게 별도의 증빙자료 요구 없이 등록금을 전액 환불해준다는 계획이다. 

권동현 세명대 총장은 지난 2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등록금 책임환불제 도입 배경에 대해 “어떤 학교보다 잘 가르칠 수 있다는 자신감과 학생 만족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바탕으로 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권 총장은 “일자리와 자금, 문화인프라 등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해지면서 교육의 질이 아닌 ‘서울에서 얼마나 가까운지’가 대학의 우열을 가르는 기준이 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학교 교육에 만족하지 못해 떠나는 학생이 한 명도 나오지 않도록 인적·물적 투자를 아끼지 않고 혁신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오직 교육의 질로 평가받겠다는 세명대의 도전이 나비효과를 일으켜 대학의 본질이 회복되고 권리가 존중받는 사회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출생률 저조·학령 인구 감소 ‘충원난’..지방대 더 심각 

세명대 뿐만 아니라 많은 대학들이 학생 충원난을 겪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로 일부 대학들은 폐교 수순을 밟기도 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입학전형위원회가 26일 발표한 196개 회원 대학의 ‘2025학년도 대학입학전형시행계획’에 따르면, 2025학년도 전체 모집인원은 34만934명으로 2024학년도보다 3362명 감소했다.

존폐 기로에 선 대학들이 자체 구조조정을 실시하는 등 모집인원이 전체적으로 쪼그라들었다. 

1월2일 마감한 2023학년도 정시모집 결과에서는 수험생이 단 한명도 지원하지 않은 학과가 있는 대학이 전국적으로 14곳, 26개로 집계됐다. 

서울 등 수도권 대학보다 지방 대학의 상황은 더욱 심각했다. 실제 종로학원이 발표한 ‘정시지원자 0명 학과 분석’ 결과 올해 정시 지원자가 0명인 곳은 모두 지방대였다. 

학과별로 경북 소재 대학이 10개 학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경남·전남 각 4곳 ▲충남·부산·충북 각 2곳 ▲강원 1곳 ▲전북 1곳 등으로 나타났다. 

지원자가 단 한명도 없는 학과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3년 전인 2020학년도 3개 대학, 3개 학과 대비 각각 5배, 8배 늘어난 수치다.

또한 종로학원이 전국 216개 대학의 2023학년도 수시 미등록 규모를 분석한 결과, 서울 소재 대학은 3.0%, 지방대는 18.6% 정도 수시모집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대학 한 곳당 인원을 따졌을 때 서울 내 대학은 33명, 지방권 대학은 256명이다. 지난해 서울 내 대학은 43명, 지방대는 251명 공석이 생긴 것과 비교해 격차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북의 한 대학은 친구와 동반 입학하는 학생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내놨고, 입학생 전원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는 곳도 있었다.

재정 악화로 경영 한계에 직면한 지방대들이 장학금을 마지막 생존 전략으로 내세우고 있는 셈이다.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과감한 자체 혁신으로 본질 및 가치 회복

우리 사회에서 출신 대학이나 직업은 사람의 등급을 구분하는 기준이 돼왔다. 

최근에는 블라인드 채용 방식을 도입한 기업들도 많지만, 과거 채용시장에서는 출신 대학이 일반적인 스펙이 되면서 인지도 없는 지방대보다 서울 등 수도권의 네임벨류가 높은 대학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그리고 지금도 출신 대학은 그 사람의 지능과 수준, 노력의 정도를 따져볼 수 있는 주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학문의 전당’인 대학이 본질과 가치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세명대와 같은 과감한 자체 혁신 노력이 필수적이라는 지적도 있다. 

글로컬 대학 30곳을 선정해 학교당 5년간 1000억여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정부 계획도 이와 같은 일환. 지역 성장과 대학 혁신을 동시에 이루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지방대의 위기는 대학 자체에서 끝나지 않는다. 사람과 인프라의 대도시 쏠림 현상은 지역 소멸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하고 정부와 지자체, 대학 모두 문제 해결을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할 시기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