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국내외 동향 모니터링..고령·당뇨병 환자 등 고위험군
지영미 청장 “국내 유행 가능성 낮아”..의심 땐 신속 진료 당부

공공뉴스=김수연 기자 최근 일본에서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SS) 환자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방역당국이 국내외 동향을 파악하며 대응 체계를 강화에 나섰다.  

질병관리청은 최근 일본의 STSS 환자 증가와 관련해 국내외 발생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라고 22일 밝혔다.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 전경. <사진=뉴시스>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 전경. <사진=뉴시스>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NIID)가 발표한 STSS 환자 발생현황에 따르면, 지난 2월말까지 신고된 일본 STSS 환자 수는 414명으로 예년 대비 높은 발생을 보이고 있다. 

연도별 일본 STSS 환자는 2018년 684명, 2019년 894명, 2020년 718명, 2021년 622명, 2022년 732명. 2023년 941명 등이다. 

코로나19 유행기간에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정책으로 인해 발생이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2월말 기준 발생한 환자 414명 중 90명이 사망(치명률 21.7%)했다. 50세 이상 연령대에서 치명률이 24.0%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 병원체인 A군 연쇄상구균(GAS)에 감염된 경우 대부분은 인플루엔자와 비슷한 경미한 호흡기 증상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침습적인 감염이 진행되는 경우 고열, 발진, 류마티스열, 사구체신염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중증으로 진행될 경우 괴사성 근막염, 다발성 장기부전, STSS 등으로 악화될 수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STSS 치명률은 약 30~70%로 알려졌다.

STSS는 사람 간 접촉을 통한 전파가 드물며, 동일 원인균으로 감염될 수 있는 성홍열의 국내 발생이 코로나19 이전 대비 매우 낮은 점 등을 고려할 때 국내 유행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해 조기진단 및 신속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질병청은 강조했다. 

국내에서는 STSS를 별도의 법정감염병으로 분류해 신고를 받지는 않지만, 성홍열 합병증 환자 전수 역학조사 및 급성 호흡기 환자 병원체 감시사업을 통한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STSS와 동일한 원인 병원체인 A군 연쇄상구균 감염으로 발생할 수 있는 성홍열을 2급 법정감염병으로 지정해 감시하고 있다. 질병청은 국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성홍열 환자에 대하여 의료기관으로부터 신고를 받아 감시하고 있으며 성홍열로 인한 중증·합병증·사망사례의 경우 역학조사를 실시한다. 

지난해 국내 성홍열 (의사)환자는 810명(10만명 당 1.58명) 발생했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다소 증가하는 추세이나, 코로나19 유행 이전 대비 매우 낮은 발생을 보이고 있다.

2000년 이후 성홍열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이 보고된 사례는 총 4건이며, 이 중 STSS로 의심되는 사례는 2건이었다.  

일본 STSS 환자 발생현황, 2024년 주차별·연령별 일본 STSS 사망현황. <자료제공=질병관리청>
일본 STSS 환자 발생현황, 2024년 주차별·연령별 일본 STSS 사망현황. <자료제공=질병관리청>

아울러 질병청은 급성 호흡기세균 병원체 감시사업 운영을 통해 표본 의료기관의 급성 호흡기 감염증 환자들로부터 A군 연쇄상구균의 유행 상황과 특성을 조사하고 있다. 

2007년 이후부터 이 감시사업을 통해 총 554주의 A군 연쇄상구균을 분리했고 현재까지 이 병원체를 보유한 환자들에서는 STSS가 확인되지 않았다. 

A형 연쇄상구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처가 발생한 경우 상처부위의 외부노출을 최소화하고, 비말로 인한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A형 연쇄상구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65세이상 고령층, 최근 수술을 받아 상처가 있거나 노출되는 상처가 발생할 수 있는 바이러스 감염, 알코올 의존증,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 의심증상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의료기관에서는 의심환자가 내원하는 경우 진료 시 마스크, 장갑 등 적절한 개인보호구를 착용하고 철저한 의료감염관리가 중요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STSS는 사람 간 접촉을 통한 전파가 드물며 동일 원인균으로 감염될 수 있는 성홍열의 국내 발생이 코로나19 이전 대비 매우 낮은 점 등을 고려할 때 국내 유행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신속하게 의료기관을 방문해 조기진단을 통한 신속한 치료를 받는 것을 당부했다. 

지 청장은 “최근 일본 발생 상황을 고려해 국내외 발생동향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일선 의료진을 대상으로 환자 진료 안내를 하는 등 신속 대응할 예정”이라며 “해외여행객들은 과도한 불안과 우려보다는 감염예방수칙을 준수하며 고위험군의 경우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하게 의료기관에 방문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