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자치분권 원년, 자치분권 개헌으로' 자치분권개헌 국민대토론회에서 서울시장 3선에 도전하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자치분권 개헌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고 있는 모습.<사진=뉴시스>

[공공뉴스=강현우 기자] 6월 지방선거가 목전으로 다가왔다. 벌써부터 많은 예비후보들이 등록을 마치고 일찌감치 선거전에 돌입한 후보들이 있는 반면 한켠에서는 치열한 눈치작전을 펼치고 있는 예비후보들도 눈에 보인다.

이번 6월 지방선거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여권 예비후보들의 난립이 손꼽힌다.

더불어민주당은 일찌감치 지방선거 후보를 당내 경선으로 결정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더욱이 광역단체장 경선의 경우에는 결선투표도 도입했다. 따라서 민주당 간판을 달고 6월 지방선거에 나서려면 각 지역별 예비후보들이 치열한 1차 경쟁을 치러내야만 본선에 나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민주당이 강세를 보이는 일부 지역에서는 ‘경선 승리가 곧 당선’이라는 공식마저 나돌 정도다.

반면 야권 진영에서는 극심한 후보 빈곤 현상마저 발생하고 있다. 단적인 예로 민병두 의원과 정봉주 전 의원이 ‘미투 파문’에 휩싸여 의원직을 사퇴하고 복당이 무산됐지만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들은 여전히 넘쳐나고 있다.

두 사람 모두 오는 6월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 출마를 예고 했던 인물들이다. 중량감 있는 인사들이 중도하차 했지만 민주당 내부에서는 여전히 박원순 현 서울시장과 이에 박영선, 우상호 의원이 도전장을 내밀며 치열한 경선을 예고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맞서야 할 자유한국당은 물망에 오르내리던 홍정욱 전 의원이 고사하고 홍준표 대표가 밀어붙인 이석연 전 법제처장도 불출마 선언을 하는 등 마땅한 후보를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유한국당 내부에서는 “차라리 홍준표 대표가 서울시장 후보에 나서라”는 야유 섞인 목소리마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사정은 바른미래당 역시 마찬가지다. 서울시장 출마를 종용받아 온 안철수 전 대표가 이를 뒤로하고 인재영입위원장직을 맡으며 딱히 내세울만 한 서울시장 후보를 찾기 어려운 형편이다.

정가 일각에서는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서울시장 후보를 공동으로 내는 것 아니냐는 성급한 관측마저 나오고 있다.

이처럼 오는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여·야가 극심한 차이를 보여주는 것은 그 ‘정치적 속성’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현재의 정국 상황이 야권에는 매우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서치뷰’의 3월 3주차 정기조사 결과 오는 6월 광역단체장선거에서 과반이 넘는 55%의 응답자가 민주당 후보를 지지할 것으로 나타났고, 정당지지도 역시 민주당이 52%로 과반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조사기간: 3월 16일~18일 3일간, 조사대상:전국 성인남녀 1,000명, 조사방법:ARS 자동응답시스템을 이용한 임의걸기(RDD) 방식, 무선 85%, 유선 15%. 통계보정은 2018년 2월말 현재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라 성·연령·지역별 가중치를 부여했고,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3.1%p, 응답률은 3.9%. 자세한 내용은 '리서치뷰'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리서치뷰'의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당은 23%, 바른미래당 6%, 정의당 3%, 민주평화당 2% 순의 광역단체장 정당후보 지지도를 보였다.

민주당이 서울(55%), 경기/인천(61%), 충청(59%), 호남(66%), 부산/울산/경남(51%) 등에서 과반 이상의 지지를 얻었고 한국당은 대구/경북(44%)에서만 민주당을 제치고 선두를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한국당 대구시당 공천관리위원회(위원장 김상훈)는 지난 15일 오후 대구 수성구 범어동 당사 회의실에서 오는 6월13일 실시되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후보자 추천을 위한 첫 면접을 실시했다. 야권 진영에서는 극심한 후보 빈곤 현상이 여전하다. <사진=뉴시스>

이 같은 추세를 감안할 때 오는 6월 지방선거에서 야권의 승리를 장담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 벌어지고 있는 야권의 후보빈곤 사태는 그들의 전통적인 속성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과거 민주당의 야당 시절에, 특히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으로 분당까지 겪었던 당시에도 열린우리당과 민주당 모두가 지방선거에서 각자 후보를 낸 바 있다. 2006년 5월 31일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과 민주당 모두 당내 경선 등을 통해 지방선거 후보를 본선에 내보냈다.

당시에는 한나라당이 절대적인 강세를 보인데다 야권도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으로 갈라져 당선이 그리 쉽지만은 않았던 것이 현실이었다.

하지만 당시 야권은 두 당 모두 지방선거 후보를 내고 각 지역별로 단일화 내지는 각자 도생에 나서며 지방선거를 치러냈다.

전통적인 진보정당 역시 지방선거를 대하는 자세는 마찬가지였다. 매번 지방선거때마다 고배를 마셔온 진보진영도 민주노동당, 통합진보당을 거쳐 노동당과 정의당에 이르기까지 매번 열심히(?) 독자 후보를 내고 선거전에 올인 해왔다.

최근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에서는 이같은 모습을 찾아보기는 어려울 듯하다. 대체적으로 보수진영에서는 ‘승산이 없는 선거’에 선뜻 나서려는 인사들을 찾아보기 힘들었던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연출되고 있는 여와 야의 각자 다른 모습에서 대한민국 정치의 현실이 그대로 투영돼 있는 듯하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