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오전 충남 아산시 이순신체육관에서 열린 순직 소방공무원 3명의 합동영결식에서 동료 소방관들이 시신을 들고 운구차로 이동하고 있다.<사진=뉴시스>

[공공뉴스=김승남 기자] 최근 유기견을 구조하던 소방관 3명이 교통사고로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달 소방공무원 임용을 앞두고 있던 2명의 교육생과 1명의 소방교가 갑작스런 사고로 목숨을 잃어 많은 이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소방관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존재. 그러나 정작 이들에 대한 처우가 매우 낮다는 지적은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특히 이번 사례처럼 동물 포획 등 소방관의 생활안전 분야 투입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말이 나왔던 상황. 중요도가 높지 않은 업무에 소방 인력이 투입되면서 자칫 큰 사고를 놓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과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는 소방관의 처우 개선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연일 커지고 있다.

지난 2일 숨진 여성 소방관 3명에 대한 합동 영결식이 거행됐다. 충남 아산시 이순신체육관에서 열린 합동 영결식에는 숨진 소방관들의 유족과 동료 소방공무원, 의용소방대원,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등 800여명이 참석해 고인에게 애도를 표했다.

앞서 지난달 30일 오전 9시46분께 충남 아산시 둔포면 신남리 43번 국도에서 갓길에 정차한 소방펌프 차량을 25t 화물차가 들이받았다.

특히 이 사고로 아산소방서 소속 김신형(29·여)소방교와 임용 예정 실습생 김은영(30·여)씨, 문새미(23·여)씨 등 3명이 숨졌다.

숨진 이들은 “개가 줄에 묶여 도로에 있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했다가 참변을 당했다.

사고 직후 긴급체포된 화물차 운전자 A씨는 “운전을 하면서 라디오를 조작하다 소방차를 확인하지 못했다”고 경찰에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정부는 김 소방교에게 1계급 특진과 함께 옥조근정훈장을 추서했다. 이어 오는 16일 임용을 앞둔 교육생 2명에 대해서도 사고 당시 직무 행위로 숨진 것으로 보고 순직 공무원에게 주는 옥조근정훈장을 추서했다.

순직자들은 국립대전현충원 내 소방공무원 묘역에 안장됐다.

현재 A씨는 구속돼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은 지난 1일 열린 A씨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서 “증거인멸 염려 및 도주 우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아산소방서 소방관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및 SNS 상에서는 소방관의 처우와 관련한 글들이 빗발치고 있는 상황.

청원인들은 “소방관은 월급도 적고 힘든 일은 다한다. 즉시 처우를 개선해 달라” “동물 구조 출동 업무를 없애고 화재 등 긴급구조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소방관이 무슨 죄냐” 등 소방관 처우와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난달 30일 오전 9시46분께 충남 아산시 둔포면 신남리 43번 국도에서 25t 화물차가 동물구조 작업중이던 소방펌프 차량을 추돌했다. 이 사고로 여성 소방관 1명과 교육생 2명 등 3명이 숨졌다. <사진=뉴시스>

한편, 근무 중 숨지거나 다친 소방관 수가 매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4년 새 2배 넘게 늘어나는 등 소방관에 대한 지원 확대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홍철호 자유한국당 의원이 소방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업무 중 숨지거나 다친 소방공무원 수는 2058명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13년 294명, 2014년 332명, 2015년 378명, 2016년 450명, 2017년 604명이었다.

업무유형별로는 사망한 소방관 16명 가운데 56%에 해당하는 9명이 구조활동 중 사망했다. 이어 화재진압(6명), 교육훈련(1명) 등 순이었다.

부상자의 경우 전체(2042명)의 37%인 765명이 소방 지원·예방 활동 중 부상을 입었다. 다음으로 구급활동(475명), 화재진압(394명), 구조활동(208명), 교육훈련(200명) 등이었다.

홍 의원은 “재난현장에서 소방공무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근무여건을 대폭 개선해야 한다”면서 “업무 중 죽거나 다친 소방관에 대한 치료나 생활 안정 지원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