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바른미래당 지도부 잇단 사퇴 결정..국회 재가동도 난항 예고

박주선 바른미래당 공동대표와 지도부가 15일 6·13 지방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동반 사퇴했다.<사진=뉴시스>

[공공뉴스=강현우 기자] 6·13 지방선거 참패로 보수진영이 큰 혼란에 빠진 모습이다.

지난 14일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 등 당 지도부가 이번 선거에 책임을 지고 전격 사퇴했고, 같은날 유승민 전 바른미래당 공동대표도 자리에서 물러났다.

또한 유 전 공동대표 사퇴 하루 만인 15일에는 박주선 전 바른미래당 공동대표 등 현 지도부가 총사퇴하면서 야권은 그야말로 ‘패닉’ 상태다.

박 전 바른미래당 공동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고 “현 지도부가 하루 빨리 수습하기 위해 노력하고 전당대회 개최에 매진해달라는 요청도 있었지만, 어차피 민주주의는 책임 정치라고 생각한다. 책임은 단호해야 한다”면서 “표결은 아니지만 최고위원 모두가 만장일치로 함께 동반 사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차기 지도부가 구성될 때까지 바른미래당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운영된다. 위원장은 김동철 원내대표가 맡는다.

박 전 공동대표는 “김 원내대표가 차기 비대위원장을 겸임하기로 했다”며 “비대위원장은 당헌상 당무위에서 선출하게 돼 있지만 아직 당무위가 구성되지 않아 최고위에서 비대위를 선출했다”고 말했다.

그는 유 공동대표보다 하루 늦게 사퇴를 결정한 것에 대해 “후임 지도부라도 만들고 사퇴하는 것이 진정한 책임을 지는 자세라 생각해 오늘(15일)까지 왔다”고 설명했다.

이번 지방선거 참패와 관련해서는 “당 입장에서 모든 것을 태웠고 송두리째 갈아버렸는데, 개인적으로는 철저하게 죽었다는 감회를 갖고 있다”며 “이제 새 생명을 소망하며 씨앗을 뿌리는 농부의 심정으로 당을 정비하는데 당원 모두가 혼연일체가 돼야겠다”고 했다.

박 전 공동대표는 “신임 원내대표는 국회 하반기 원 구성 이후 선출할 예정이지만, 원 구성이 길어지면 비대위원들이 시기를 조정할 수 있다”며 “차기 전당대회는 2개월 안에 가급적 빠른 시일 내 개최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또한 손학규 상임선거대책위원장의 역할에 대한 질문에는 “우리 당의 보배이고 이번 지방선거에서 선당후사, 견마지로를 다하신 고마운 분”이라며 “본인 의지에 따라 역할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는 손 위원장이 차기 전당대회에서 당권에 도전할 가능성을 내비친 것 아니냐는 풀이다.

앞서 6·13일 최종 선거 개표 결과 광역단체장은 더불어민주당 14곳, 한국당 2곳, 무소속 1곳에서 승리했다. 국회의원 재보선은 민주당 11곳, 한국당 1곳에서 가져갔다.

기초단체장 226곳에서도 민주당이 월등했다. 민주당 151곳, 한국당 53곳, 민주평화당 5곳, 무소속 17곳으로 각각 집계됐다. 민주당의 압승인 동시에 보수야당의 참혹한 패배다.

특히 바른미래당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단 1석도 얻지 못했다. 이에 유 전 공동대표는 14일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같은 당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는 이날 당 지도부와 오찬을 한 뒤 미국으로 출국할 계획이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지난 1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자유한국당 당사에서 6.13 전국동시지방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 기자회견을 한 후 인사를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뿐만 아니라 홍 전 대표 등 한국당 지도부도 이번 선거에 책임을 지고 14일 전격 사퇴했다.

이번에 물러난 당 지도부는 홍 전 대표 및 6명의 최고위원과 홍문표 전 사무총장 등이다. 이들은 홍 전 대표가 임명한 주요 당직자 전원이다.

이와 함께 정갑윤 전 울산시당위원장, 주광덕 전 경기도당위원장, 김한표 전 경남도당위원장 등 현장 선거 책임자도 줄사퇴했다.

홍 전 대표 등 당 지도부의 사퇴로 한국당은 김성태 대표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됐다.

한편, 이번 지방선거가 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나고 보수진영이 패닉에 빠지면서 주요 국정 현안과 법안 처리를 위한 관문인 국회를 재가동하는데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현재 한국당은 권한대행 체제, 바른미래당 비대위 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원내 일정보다 당 내부 수습에 전념할 수밖에 없는 상황. 때문에 20대 하반기 국회에 시동을 걸기 위한 원 구성 협상부터 난항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게 정치권 안팎의 분석이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