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 14% 넘어서..생산연령인구도 첫 감소

<사진=뉴시스>

[공공뉴스=김승남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14%를 넘어섰다. 지난 2000년 고령화 사회로 들어선 지 17년 만에 ‘고령사회’로 공식 진입한 것.

반면, 15~64세 사이 생산연령인구는 처음으로 감소했다. 이에 따라  ‘인구절벽’이 본격화 됐다는 평가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1일 기준으로 국내에 거주하는 총 인구(외국인 포함)는 5142만3000명으로 전년 대비 15만3000명(0.3%) 증가했다.

연간 인구 증가율은 1949년 인구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수치. 2016년 증가율(0.4%)보다도 0.1%포인트 하락했다.  

이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711만5000명(14.2%)에 달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일 경우 ‘고령화 사회’, 14% 이상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 사회’로 구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고령인구 비율이 전체의 14%를 넘어서면서 고령사회 진입을 확정했다.

우리나라의 고령사회 진입은 매우 빠른 모습. 고령사회 진입은 2000년 고령화 사회로 들어선 지 17년 만으로, 고령화 속도가 빠르다는 일본도 1970년 고령화사회에서 1994년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데 24년이 걸렸다.

하지만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620만명(72.5%)으로 일년새 3631만2000명에서 11만6000명 감소했다.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한 지역은 17개 시·도 중 76.5%에 해당하는 13개 시·도다. 229개 시·군·구 가운데서는 167개(72.9%)에서 생산연령인구가 줄었다.

특히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 감소세는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소년 인구는 663만2000명(13.3%)으로 1년새 14만명 줄어들었다.

유소년인구 대비 고령인구의 비율을 뜻하는 ‘노령화지수’도 2016년 100.1로 처음으로 100을 넘어 역전한 뒤 2017년 107.3으로 늘었다.

연령 인구구조 및 노령화지수 <자료=통계청>

시·도별 고령인구 비율은 전남(22.0%)이 가장 높고, 경북(19.0%), 전북(19.0%), 강원(18.0%) 순이었다. 세종(9.3%)은 전국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고령인구 비율이 감소했다.

성별로는 남자 2576만8000명, 여자 2565만4000명으로 2016년에 비해 각각 0.3% 증가했다.

100세 이상 인구는 3908명으로 전년대비 12.1% 증가했다.

또한  국내 총 가구 수는 전년대비 33만 가구(1.7%) 늘어난 2016만8000 가구로 사상 처음으로 2000만 가구를 넘어섰다.

1인 가구가 28.6%로 전년보다 0.7%포인트 증가했고, 다음으로 2인 가구(26.7%), 3인 가구(21.2%), 4인 가구(17.7%), 5인 이상 가구(5.8%)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평균 가구원수는 2.47명으로 1년 전에 비해 0.04명 감소했다. 

아울러 65세 이상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520만9000 가구로 26.5%를 차지했고, 고령자만 있는 가구도 240만 12.2%에 달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