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95.2%..올 1분기 상승폭 0.3%포인트로 16년 만에 최대치

[공공뉴스=박계형 기자] 지난해부터 정부가 대출 규제를 강화했지만 한국의 가계빚 증가속도는 여전히 세계 최상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 성장세 둔화와 함께 규제를 피해 신용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 전세대출 등으로 가계빚 증가세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사진=뉴시스>

3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3월말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5.2%다.

가계부채 규모가 국내 경제규모와 비슷한 수준인 셈.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전년 대비 2.3%포인트 상승했다.

한국의 가계부채 상승폭은 BIS가 집계한 43개 주요국 가운데 중국(3.7%포인트)과 홍콩(3.5%포인트)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

다만 전년 같은 기간(4.6%포인트)보다 상승폭이 작아졌지만 순위는 3위로 같았다.

앞서 정부는 2017년 중반부터 부동산 대책의 일환으로 대출을 옥죄는 정책을 본격 추진했지만 증가세를 막지 못했다.

정부는 2017년 6·19 대책, 8·2 대책 등 담보인정비율(LTV)을 낮추고 대출심사를 깐깐하게 하는 방안을 내놨고 같은 해 10월 2018년 신(新) 총부채상환비율(DTI) 도입,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조기 도입 등을 주 내용으로 하는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그러나 주요 대책이 발표되고 난 2017년 9월말 이후로도 6개월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포인트 올라갔다. 홍콩(1.7%포인트), 호주(1.4%포인트), 중국(1.3%포인트)에 이어 상승폭이 세계 4위를 기록, 순위가 한 계단 내려서는 데 그쳤다.

아울러 올해 1분기에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0.4%포인트 상승하며 중국(0.9%포인트), 스위스(0.6%포인트), 호주(0.5%포인트)에 이어 세계 4위로 기록됐다.

특히 1분기만 놓고 보면 상승폭이 더욱 두드러진다. 올해 한국 가계부채 비율 상승폭은 2002년(0.3%포인트) 이래 16년 만에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 3월말 기준으로 7위다.

스위스(128.3%), 호주(122.2%), 덴마크(117.3%), 네덜란드(104.3%), 노르웨이(101.6%), 캐나다(99.4%) 다음이다.

가계부채가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전인 2014년 1분기(81.9%)에는 12위였으나 4년간 13.3%포인트, 순위로는 5계단 상승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