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세 차원 급매물 거래..강남권 일부 중심으로 회복 조짐 감지
중저가 아파트 많은 곳·비규제지역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 전망

<사진=뉴시스>

[공공뉴스=이민경 기자] 3월부터 내림세를 지속하던 서울 아파트값이 9주 만에 상승 전환됐다. 절세 차원의 급매물이 거래되면서 강남권 일부를 중심으로 회복 조짐이 감지됐다. 

29일 부동산 114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상승했고, 재건축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가 각각 0.01%, 0.02% 올라 상승 전환됐다. 이밖에 경기·인천이 0.05% 올랐고, 신도시도 0.01% 상승했다. 

수도권 전세시장은 비교적 안정세가 유지되고 있다. 전세가격은 서울이 0.02% 상승했고, 경기·인천과 신도시가 각각 0.03%, 0.02% 올랐다. 

서울은 강남권 중심으로 절세용으로 출시된 급매물이 거래되면서 강남이 지난주(-0.06%) 보다는 낙폭이 줄어 -0.03%를 기록했다. 강동(0.02%), 송파(0.02%), 서초(0.00%)는 각각 상승 전환되거나 보합세를 보였다. 

이번주 하락한 지역은 강남과 광진(-0.02%) 두 곳이다. 강남은 삼성동 삼성힐스테이트2단지와 대치동 개포우성1차, 일원동 개포우성7차 등이 1000만~5000만원 하락했다. 광진은 광장동 광장현대8단지가 1000만원 정도 내렸다. 

반면 종로(0.13%), 강북(0.12%), 성북(0.11%), 노원(0.09%), 금천(0.09%) 등 새아파트 공급이 부족한 지역이나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지역은 상승했다. 종로는 홍파동(교북동) 경희궁자이2·4단지가 500만~2000만원 올랐고 강북은 미아동 래미안트리베라1·2단지가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신도시는 중동(0.04%)과 일산(0.02%), 산본(0.02%), 분당(0.01%), 평촌(0.01%), 위례(0.01%)가 올랐고 이외에는 보합세를 나타냈다. 중동은 상동 한아름라이프, 현대와 한아름삼환, 중동 금강주공이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일산은 주엽동 문촌2단지라이프와 문촌17단지신안이 500만~1000만원 올랐다.

경기·인천은 여전히 경기 남부권을 중심으로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오산(0.17%), 부천(0.13%), 안산(0.13%), 군포(0.11%), 화성(0.09%), 광명(0.08%), 하남(0.08%) 등이 올랐다. 

오산은 가수동 늘푸른오스카빌을 비롯해 원동 대원, 양산동 오산세마e편한세상이 250만~1000만원 상승했다. 부천은 상동 다정한마을금강KCC, 약대동 부천 IPARK, 송내동 송내역파인푸르지오1·2단지 등이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반대로 과천(-0.12%), 광주(-0.01%), 이천(-0.01%)은 하락했다. 과천은 매수세가 둔화된 가운데 지난 4월 대규모 단지인 과천푸르지오써밋(1571가구) 입주 영향으로 하락폭이 컸다. 

서울 아파트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 추이 자료=부동산114
서울 아파트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 추이 <자료=부동산114>

전세시장의 경우 서울은 성북(0.07%), 강서(0.06%), 도봉(0.06%), 강동(0.05%), 구로(0.05%), 동대문(0.04%), 송파(0.04%) 등이 올랐다. 

성북은 종암동 종암2차IPARK, 하월곡동 월곡두산위브, 돈암동 돈암더샵 등이 500만~1000만원 상승했고, 강서는 화곡동 우장산롯데캐슬, 염창동 동아1차, 방화동 마곡경남아너스빌 등이 500만~2000만원 올랐다. 

또한 도봉은 방학동 신동아1단지, 창동 상계주공19단지, 쌍문동 극동 등이 250만~500만원 상승했다.

신도시는 동탄(0.05%), 일산(0.04%), 산본(0.03%), 분당(0.02%)에서 전세가가 뛰었고, 이외 신도시는 보합세를 나타냈다. 

경기·인천은 남양주(0.08%), 안산(0.06%), 하남(0.06%), 오산(0.06%), 평택(0.06%), 광명(0.05%), 부천(0.05%) 등이 올랐다. 과천은 과천푸르지오써밋(1571가구) 입주 여파로 0.32% 하락했다.

부동산114 는 “강남권을 중심으로 급매물이 거래됐지만 추가 하락에 대한 우려도 상존하고 있어 추격 매수세로 이어지지는 않는 분위기”라며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연 0.5%로 인하했지만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불확실성이 여전한 데다 이미 초저금리여서 추가 인하에 따른 영향이 크지 않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다만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지역과 상대적으로 가격 상승이 덜했던 비규제지역의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