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7년간 65세 인구 비중 연평균 0.7%포인트씩 증가
2022년 기준 부산 가장 빠르게 진행, 세종시 가장 느려
고령화 지역별 양극화..순유출-순유입 등 이동 크게 작용

공공뉴스=김수연 기자 우리나라 인구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가운데 전국에서 부산광역시의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 겨울호를 3일 발간했다. 

안준기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통계청의 2015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7년간 인구센서스 자료를 활용해 250개 시군구의 고령화 정도와 속도를 분석했다.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분석 결과 한국은 2015년 고령화 사회에서 2022년 고령사회로 전환, 향후 2~3년 내에 초고령 사회로 이행이 예상된다. 

전국 고령화 속도는 0.677로, 최근 7년간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연평균 0.7%포인트씩 증가하고 있었다. 고령화 속도는 면 단위가 가장 빠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2022년 기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부산광역시가 0.968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울산(0.839), 대구(0.807), 강원(0.791), 경북(0.789), 경남(0.774) 등 순이었다. 

젊은층의 인구 유입이 지속적으로 이뤄지는 세종특별자치시는 –0.040으로 유일하게 마이너스를 기록, 가장 느리게 진행되는 지자체였다. 

광역시보다는 광역도 단위에서 고령화 비율이 높고, 인구가 적은 읍·면 단위의 고령화 비율이 높았다. 

기초 지자체의 고령화 진행 상황을 보면, 지난 7년간 65세 이상 노인인구 7% 미만의 ‘고령화 사회’ 지자체 비중은 44%에서 10.4%로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노인인구 20% 이상인 ‘초고령 사회’ 지자체의 비중은 33.2%에서 51.6%로 증가했다.

노인인구 비중이 높은 상위 20개 기초 지자체는 대부분이 군 지역이었다. 가장 높은 지자체는 2022년 기준 44.7%인 경북 의성군이며, 전남 고흥(43.0%), 경북 군위(42.6%), 경남 합천(42.0%), 전남 보성(41.6%), 경북 청송(40.6%), 경북 영양(40.2%), 경북 봉화(40.1%) 등이 40%를 넘겼다.

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노인 수인 ’노인부양비’는 2022년 의성군이 90.0으로, 전국 평균인 24.9의 3배 이상이었다. 

상위 20개 지자체는 대부분 70 이상으로, 향후 5년 이내 노인부양비 100에 도달하는 지자체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전국 250개 시군구의 고령화 속도는 상대적으로 인구규모가 큰 시나 광역지자체의 구 단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 서구, 부산 영도구, 강원 태백시, 평창군, 충북 단양군, 부산 사하구 등이 전국 평균 고령화 속도보다 두 배 이상 빨랐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된 지역들의 공통된 특성은 65세 미만 인구의 순유출과 65세 이상 인구의 순유입으로 고령화 속도가 더욱 가속화되는 추세다. 즉 자연적 인구구조 변화보다는 인구이동이 크게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광역 시도별 고령자 인구 특성. <자료=한국고용정보원>
광역 시도별 고령자 인구 특성. <자료=한국고용정보원>

또한 고령화 상위 20개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 근로자 비중은 35~45%로 전국 평균에 비해 3~4배 가량 높은 수준이었다. 이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근로자 연령 상승과 함께 고령 근로자의 노동시장 참여 증대 영향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고령화 상위 20개 지자체의 2022년 산재사고 사망 만인율은 전국 평균 0.43명보다 3배 이상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경남 산청군 6.09명, 경북 봉화군 2.96명, 전남 고흥군 1.64명, 경북 의성군 1.52명 등으로 많았다. 

안 부연구위원은 “고령자는 신체, 정신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상황에서 위험에 노출된 근로환경에 놓을 가능성이 높다”며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산재사고는 고령자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고령화 상위 지역은 괜찮은 일자리의 부족으로 인해 생산가능인구의 지속적 유출이 발생하고, 이는 다시 기업의 역외 이전 등을 유발해 악순환 발생하고 있었다. 

고령화 상위 20개 지자체의 경우 제조업 비중이 낮을 뿐만 아니라 지난 7년간 제조업 근로자의 비중이 감소했다. 2022년 기준 구인배수(구인자 수/구직자 수)는 전국 평균이 0.708이나 고령화 상위지역인 전남 신안, 전남 함평, 전남 고흥 등은 1.7을 상회해 인력 미스매치 심화됐다.

안 부연구위원은 “지역의 고령화는 지역소멸, 지역 일자리 문제, 지역 양극화 문제 등 사회문제로 인식해야 한다”며 “고령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근로환경 구축, 지역균형발전을 통해 지역 산업구조를 생산성이 높은 구조로 재전환하는 노력으로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