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금속 분야서 정부 지원 기업 선정..日 최대주주 꼬리표는 ‘부담’
도쿄계기 홈페이지 내 한국 현지법인 표기 논란..회사 측 “일본 잘못”

[공공뉴스=이민경 기자] 유공압기기, 실린더, 산업용 첨단 로봇을 생산하고 있는 한국도키멕주식회사(이하 한국도키멕)가 최근 정부 선정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에 이름을 올린 것을 두고 뒷말이 나오는 모양새다.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일본의 수출규제 여파로 핵심 소재 등에 대한 국산화 중요성이 커지자 관련 분야의 자립성을 높이기 위해 한국도키멕 등 55개사를 강소기업으로 선정하고 지원하기로 했지만, 그러나 한국도키멕의 ‘정체정 논란’이 불거지며 곱지 않은 시선이 쏟아지는 것.    

한국도키멕은 일본기업 도쿄계기(TOKYO KEIKI INC.)가 단일 최대주주로 있는 한·일 합작회사. 국민적 반일감정이 여전히 극에 달하고 있는 가운데 이 같은 일본과의 관계는 부담이 될 여지가 충분하다.   

특히 도쿄계기가 한국도키멕을 ‘한국 현지 법인’으로 설명했다는 최근 한 매체 보도로 한국도키멕과 중기부를 향한 비판 목소리는 더욱 커진 분위기. 

이에 대해 한국도키멕 측은 <공공뉴스>에 “(한국도키멕은)일본기업과 독립적 경영을 하고 있으며 자회사도 아니다. (한국 현지 법인 표기는)일본 측에서 잘못을 인정했고 바로 정정했다”고 해명했다.

실제로 현재 문제가 된 내용은 ‘한국 관련 회사’로 변경된 상태. 하지만 현 시국에 일본기업과의 관계를 두고 불편한 논란에 휩싸였다는 점은 상당히 뼈아픈 대목이 아닐 수 없다.  

한국도키멕 홈페이지 갈무리
한국도키멕 홈페이지 갈무리

◆한국도키멕, 정부 선정 ‘소·부·장’ 분야 강소기업 꼽혀

중기부는 소재·부품·장비분야 기술 자립도를 높이고 미래 신사업 창출에 기여할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프로젝트’를 추진, 강소기업 55개사를 선정한 결과를 지난 9일 발표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강소기업 100 프로젝트 총 1064개 기업이 신청했다. 이 가운데 300개 기업이 1차 서면평가를 통과했고, 서면평가를 통과한 기업들은 2주간 외부 전문가의 현장평가와 기술평가를 거쳤다. 

이후 산학연 전문가 39명으로 구성된 심층평가단이 80개 기업을 후보 강소기업으로 선정했으며 최종평가는 5일 대국민 공개평가 방식으로 치러졌다. 이 과정에서 공개모집을 통해 선발된 97명의 국민심사배심원단이 평가에 참여해 국민들의 시각이 반영될 수 있도록 했다고 중기부는 설명했다. 

최종 선정주체는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 100 선정심의위원회’는 소재·부품·장비 국산화의 필요성, 미래 신산업 창출에 기여 가능성 등을 엄격하게 평가해 일정 수준 이상을 충족하는 강소기업으로 한국도키멕을 포함해 55개사를 선정했다.  

중기부는 “이번에 선정된 강소기업은 첫 선정인 만큼 엄격한 기준을 적용했다”며 “공개 평가방식과 국민심사배심원단의 참여를 통해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국민적 공감대를 갖춘 기업이 선정될 수 있도록 평가에 심혈을 기울였다”고 말했다. 

최종 선정된 강소기업에게는 빠른 기술혁신과 사업화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연구개발(R&D), 벤처투자, 사업화 자금, 연구인력, 수출, 마케팅 등 향후 5년간 최대 182억원이 지원된다. 

이와 함께 중기부는 ‘대중소 상생협의회’를 통해 수요 대기업과 분업적 상생협력을 통해 수요-공급 기업 간 공동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이번에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 한국도키멕은 기계 금속분야 강소기업으로 선정됐다.

한국도키맥은 중기부에 제출한 기업 소개자료에서 “30년 이상 축적된 기술력과 마케팅을 바탕으로 해외 진출 및 제품 국산화에 안정된 솔루션을 제공함과 동시에 국내 생산설비 전반의 자동화 사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해 관련 산업의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해 왔다”고 자평했다. 

실제 관련 업계에서도 한국도키멕을 두고 유공압 기기의 국산화에 앞장서고 있는 기업이라는 호평이 자자하다. 수입에 의존했던 자동화 기기의 핵심 부품인 유공압기기의 국산화를 통해 시장 내 수입대체 효과를 창출하는 등 산업경쟁력을 높였다는 분석이다. 

조홍래 한국도키멕 대표는 1998년 이 회사를 설립한 이후 당시 한국 시장에서 수입에 의존했던 유압기기 국산화에 집중하며 매년 매출액의 4~5%를 R&D에 꾸준히 투자했고, 그 결과 2001년 평택공장에서 처음으로 국산 제품 출시에 성공했다. 

이후에도 조 대표는 연구소를 설립하는 등 제품 개발에 몰두, 현재 국내 내로라하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해외 기업과도 파트너를 맺고 있다.    

정정후
한국 현지 법인서 한국 관련 회사로 정정된 설명 <사진=도쿄계기 홈페이지 캡쳐>

◆일본기업 투자 합작회사..한국 현지 법인 표기 ‘화들짝’

그러나 일각에서는 일본기업의 투자로 설립된 회사라는 점에서 한국도키멕과 정부 판단에 냉소적인 반응을 보이는 모습. 

사회적 반일감정이 고조된 상황에서 국내 정서를 고려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는 물론, 일본의 기술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정부의 프로젝트 취지에 반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1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2018년 한국도키멕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도쿄계기는 한국도키멕 지분율 28.57%를 보유한 단일 최대주주다. 

조홍래 한국도키멕 대표는 14.29%의 지분을 가지고 있으며, 부인과 아들이 각각 15.50%, 0.86%를 보유 중이다. 이밖에 자기주식 17.14%, 기타 23.64% 등이다. 

특히 특수관계회사와의 거래내용을 살펴보면 한국도키멕이 도쿄계기를 통해 올린 매출은 2018년 8억498만원, 2017년 6억4697만원, 2016년 4억8430만원 등이다. 반면 매입거래는 2018년 40억8846만원, 2017년 42억1287만원, 2016년 44억5725만원 등으로 매출과 매입의 격차는 상당하다. 

또한 큰 액수도 아니고 매년도 아니지만, 한국도키멕이 지급한 배당금을 일본기업이 가져가는 점도 보는 이들의 불편함을 자아낼 가능성이 충분한 모습.

더욱이 도쿄계기가 한국도키멕을 최근까지 ‘한국 현지 법인’으로 표기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의 불씨를 더욱 키웠다.

한국도키멕은 관련 사실을 확인한 후 도쿄계기에 정정요청을 했다. 이에 일본 측은 “한국 현지 법인으로 설명된 부분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다”고 답변했으며, 현재는 ‘한국 관련 회사’로 수정된 상태다. 

양사가 홈페이지에 표기된 문제에 대해 알지 못하고 있다가 인지 후 곧바로 정정한 것은 일종의 해프닝으로 보여질 수 있다. 그러나 일본기업과 지분 구조상 떼려야 뗄 수 없는 상태에서 불필요한 잡음만 더 키운 꼴이 된 셈이다. 

한국도키멕 주요 주주 및 지분율 자료=금융감독원 전자공시스템
한국도키멕 주요 주주 및 지분율 <자료=금융감독원 전자공시스템 캡쳐>

◆회사 측 “지분 문제 해묵은 숙제..낮추거나 없애는 방안 고민”

한편, 이와 관련 중기부 측은 이번 강소기업 선정에 있어 내부적으로 판단한 결과 한국도키멕이 결격 사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중기부 측은 <공공뉴스>에 “일본기업(28.57%) 지분이 있기는 하지만 대표자와 부인, 자녀 등 특수관계인 포함 지분(30.65%)을 따졌을 때 실질적인 경영에 대한 지배력은 한국도키멕에 있다고 봤다”고 말했다.   

한국도키멕 관계자는 “일본기업 지분을 제외한 한국도키멕 오너일가 지분과 나머지 지분은 회사 창립 당시 (조 대표가 다니던)전 회사 사람들이 투자한 지분”이라며 “실질적으로 다 우호적 지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내부적으로도 지분 문제는 해묵은 숙제다. 현재 일본 지분을 낮추는 방안을 준비 중이며 일본 측과도 몇 년 전부터 협의해왔다”면서 “이번 일을 계기로 더 적극적으로 일본 지분을 낮추거나 없애는 쪽으로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일본과 매입거래가 많은 것에 대해서는 “프로젝트(강소기업 100) 자체가 일본의 의존도를 낮추자는 것”이라며 “현재까지는 시장 구조와 신뢰도면에서 해외 제품을 의존하는 기업들이 여전히 많다. 전적으로 국산화를 하지 못하고 시장에서도 찾는 분들이 있어 매입이 많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아울러 “일본과 관계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일본 자회사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며 “최초 회사를 창립할 때 기술이전 문제도 있고, 파트너로 선정하면서 일종의 신뢰 관계 때문에 (일본 측이)투자를 일부 한 것으로 그 부분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일본이 경영에 관여도 하지 않는다”고 재차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