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인사이트, 코로나 전후 쇼핑품목 변화 비교..오프라인서 온라인으로 채널 이동 가속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공공뉴스=정진영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사태 이후 식품·음료에 가장 많은 쇼핑지출을 한 소비자 비율이 50%를 훌쩍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에 따른 ‘집콕’ 생활로 의류·잡화, 여행상품 등 다른 지출이 모두 감소 또는 정체한 상황에서 ‘나홀로 증가’를 보인 것. 오프라인 위주 구매 비중이 절반을 넘던 식품·음료 구매 채널도 온라인 쪽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소비자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매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주례 상품구입 행태 및 변화 추적조사(연간 5만2000명)’에서 나타난 ▲상품군별 최다 쇼핑지출 비중 ▲상품군별 온·오프라인 구매 비중을 코로나 전후로 나눠 비교 분석했다. 

상품군은 ▲의류·잡화 ▲뷰티용품 ▲식품·음료 ▲건강식품 ▲생활용품 ▲유아동용품 ▲가구·홈인테리어 ▲가전·디지털기기 ▲문화·디지털컨텐츠 ▲여행상품 ▲스포츠·레저·자동차용품 ▲기타의 12개로 구분했으며, 이 중 1%포인트이상 변동한 4개 상품군만 비교했다. 

4일 분석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전인 2019년 7월 44%였던 식품·음료 최다 지출 비중은 지난해 3월 이후 껑충 뛰어 49~56% 사이에서 움직였다. 코로나19 본격화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이다.

첫 거리두기가 시행된 3, 4월 56%로 급상승 후 한 때 49%까지 줄어들기도 했으나, 연말 다시 55%까지 늘었다. 1년 반 사이 쇼핑지출 변화율이 11%포인트에 달했다. 

같은 기간 식품·음료품 외에 건강식품만 소폭(1%포인트) 상승했고 나머지 항목은 하락하거나 전과 비슷했다.

여행상품은 코로나 전 쇼핑지출 비중이 가장 컸다고 응답한 소비자가 8~10%였으나 코로나 후에는 거의 바닥에 가까운 2% 수준으로 떨어졌다. 의류·잡화는 14~16%에서 11~16%로 감소했다. 

<자료=컨슈머인사이트>

오프라인 비중이 압도적이던 식품·음료 온·오프라인 쇼핑 비중에도 급격한 변화가 이뤄졌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 7월 ‘오프라인이(훨씬+약간)많다 vs 온라인이(훨씬+약간) 많다 vs 비슷하다’ 응답 비율은 ‘51 vs 24 vs 25%’로 오프라인 우세가 절반을 넘었다. 그러나 코로나 이후인 지난해 12월 이 비율은 ‘40 vs 33 vs 26%’로 크게 달라졌다.

1년 반만에 오프라인 비중이 약 11%포인트 줄어들고 그 대부분이 온라인으로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 

27%포인트에 달하던 오프라인과 온라인 격차가 4분의 1에 불과한 7%포인트로 급격하게 좁혀진 것.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식품·음료도 온라인 쇼핑 비중이 머지않아 오프라인을 따라잡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같은 기간 코로나19 이후 전체 쇼핑지출에서 차지하는 온라인 비중은 58%에서 62%로 4%포인트 늘어났다.

조사 문항 설계의 차이로 단순 비교할 수 없다. 다만, 식품·음료의 온라인 지출이 더 많다는 응답이 24%에서 33%로 크게 늘어났다는 것은 전체 쇼핑지출의 온라인 이동을 식품·음료가 주도했음을 보여준다.  

인구특성별로는 30대, 40대의 온라인 이동이 컸다. 특히 영유아 자녀를 둔 소비자층은 온라인 구매 비중이 오프라인 구매 비중과 거의 대등한 수준으로 올라섰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