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집계, 664만명..5년 전보다 27.5% ↑
전체의 31.7% 차지, 29세 이하 청년층 증가폭 가장 커..절반 미혼
주된 이유 ‘본인 직장’, 20세 이상 53.3% 본인이 직접 생활비 마련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공공뉴스=정진영 기자] 국내 1인 가구 수가 지난해 664만 가구로 집계되면서 전체의 3분의 1 수준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10명 중 4명은 월세 형태로 거주하고 있었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집계(가구·주택 특성 항목)’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664만3000가구로 전체 가구(2092만7000가구)의 31.7%를 차지했다. 

1인 가구 수는 2015년 521만1000가구에서 5년간 27.5%(143만가구) 폭증했다. 특히 29세 이하 청년층 1인 가구가 52.9% 증가해 가장 많이 늘었다. 이어 60대(41.3%), 30대(35.5%) 순이었다. 

또한 1인 가구 가운데 ‘미혼’은 334만1000가구로 50.3%를 차지했다. 

이에 대해 정남수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전체 인구에서 미혼·만혼 인구가 늘면서 1인 가구에서도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사람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들 1인 가구 중 273만5000가구(41.2%)는 월세 형태로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기 집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227만9000가구(34.3%), 전세는 115만9000가구(17.5%)였다. 

주택 형태별로는, 단독주택이 291만9000가구로 43.9%의 비율을 보였다. 아파트는 212만6000가구(32.0%), 오피스텔과 고시원 등이 72만1000가구(10.8%)였다. 

성, 연령별 1인가구 (2015,2020) <표=통계청>
성, 연령별 1인가구 (2015,2020) <표=통계청>

혼자 생활한 기간이 1~3년 미만인 가구는 136만4000가구(20.5%)로 집계돼 가장 많았고, 20년 이상인 가구도 97만3000가구(14.6%)나 있었다. 

1인 가구의 혼자 사는 주된 이유는 본인 직장 때문이었다. 227만8000가구(34.3%)가 이같이 답했다. 이어 본인 독립(26.2%), 가족 사유(17.0%) 등 순이었다. 

경제활동을 하는 1인 가구는 전체 61.9%에 해당하는 411만가구다. 남자는 235만4000가구, 여자는 175만6000가구로 각각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30대는 중 97만6000가구(87.5%)가 경제 활동을 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40대(82.8%), 50대(72.9%), 29세 이하(67.7%), 60대(48.7%) 등 순으로 집계됐다. 70세 이상은 17.7%에 그쳤다.

20세 이상 1인 가구(657만1000가구) 가운데 본인이 생활비를 마련한다고 답한 가구는 350만1000가구(53.3%)로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비 원천이 부모인 경우는 43만6000가구(6.6%), 생활비 원천이 자녀인 경우는 18만6000가구(2.8%)였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