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11월 최근 경제 동향’ 보고서 발표
고물가·고금리 상황 지속..수출, 내수 동시 부진
“금융시장 변동성, 세계 경제 하방 위험 이어져”

[공공뉴스=이민경 기자] 정부가 우리나라 경제에 대해 6개월 연속으로 경기둔화 우려를 경고했다. 고물가와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수출과 내수가 모두 부진에 빠진 영향이다. 

<사진=공공뉴스DB>
<사진=공공뉴스DB>

기획재정부는 11일 발표한 ‘11월 최근 경제 동향(그린북)’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기재부는 최근 한국 경제 상황에 대해 “고용과 대면서비스업 중심으로 내수가 완만한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면서도 “대외요인 등으로 높은 수준의 물가가 지속되고 경제 심리도 영향을 받는 가운데 수출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 등 경기둔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대외적으로는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지속되고, 주요국의 금리 인상 기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및 중국 봉쇄조치 영향 등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변동성과 세계 경제 하방 위험이 지속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정부는 지난 6월 그린북부터 경기둔화 우려를 나타냈다. 이후 6개월째 경기둔화 우려 진단이 지속되는 상황이다. 

당시 기재부는 “최근 우리 경제는 고용회복이 지속되고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내수가 완만하게 개선되고 있으나, 대외여건 악화 등으로 높은 물가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투자부진 및 수출회복세 약화 등 경기둔화가 우려된다”고 분석한 바 있다. 

대외적으로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 확대되는 가운데 미국의 큰 폭 금리 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전환 본격 가속화, 공급망 차질 지속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및 글로벌 경기 하방 위험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는 설명.

이에 따라 비상경제 대응체제 전환 등 물가·민생안정과 거시경제·리스크 관리에 총력 대응하며, 저성장 극복기반 마련을 위한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의 주요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실제로 통계청이 지난달 31일 발표한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 생산과 소비, 투자가 일제히 하락하는 ‘트리플 감소’를 기록했다. 

전산업생산은 전월 대비 0.6% 감소했고, 같은 기간 설비 투자도 2.4% 하락했다. 또 소비 역시 1.8% 줄었다.  

이와 관련 통계청은 “경기 회복 내지 개선 흐름이 다소 약화하는 모습”이라며 “물가 상승, 금리 인상으로 회복이 지연되거나 제한될 우려도 없지 않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향후 경기 흐름에 대해 불확실성이 크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수출 비교 <자료=관세청>
수출 비교 <자료=관세청>

정부는 이전까지 수출회복세가 약화되고 있다는 평가를 내놨지만, 이번에는 수출 부진으로 표현을 바꿨다. 

10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5.7% 감소한 524억8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4억4000만달러로, 1년 전(26억5000만달러)과 비교해 7.9% 줄었다. 

반도체와 철강 등 15대 주력품목 가운데 11개 품목의 수출이 부진했던 탓이다.  

뿐만 아니라 소비자심리도 비관적이다. 높은 물가상승세가 지속되는 상황 속 10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월 대비 하락했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25일 발표한 ‘2022년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는 88.8로, 전월 대비 2.6포인트 내렸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중 현재생활형편·향후경기전망 등 6개 주요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2003∼2021년)보다 낙관적임을, 100보다 낮을 경우 비관적임을 뜻한다.

아울러 10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 전산업 업황 BSI는 전월 대비 2포인트 하락한 76을 기록했다. 11월 전망은 76으로 전월 대비 3포인트 낮아졌다.

지난달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67만7000명 증가했다. 실업률은 2.4%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하락했다. 

기재부는 향후 경제정책 기조에 대해 “물가와 민생 경제 안정을 위해 총력 대응하면서 수출·투자 활력 제고, 대내외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구조 개혁 노력도 가속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