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드기 ‘쯔쯔가무시증·SFTS’, 설치류 ‘렙토스피라증·신증후군출혈열’
10~11월 집중..SFTS 백신 및 치료제 無, 치명률 20% 전후로 높아
질병청, 농작업 등 후 고열·오한·구토 등 증상 발현 시 적기 치료 당부

공공뉴스=김수연 기자 농작업, 야외활동 등이 증가하는 가을철 진드기·설치류 매개 감염병 환자도 매년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사진=질병관리청>
<사진=질병관리청>

2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진드기 매개 감염병 중 하나인 쯔쯔가무시증 환자는 이달 19일 기준 878명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1명이 사망했다. 환자 수는 전년 동기(820명·3명) 대비 7.1% 증가한 수치다. 

쯔쯔가무시증은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일부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한다. 진드기에 물린 후 10일 이내 발열, 오한 등 증상과 물린 부위에 가피(검은 딱지)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 다른 진드기 매개 감염병인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일부 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된다. 진드기에 물린 후 4~15일 이내 고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난다. 

SFTS는 주로 6~10월에 환자가 발생한다. 전날까지 확인된 환자는 118명이며, 전년 동기(129명)보다 8.5% 감소했다. 다만, 사망자 수는 22명에서 23명으로 1명(4.5%) 늘었다.  

특히 SFTS는 백신과 치료제가 없으며 치명률이 약 20% 전후로 높아 사전 예방과 환자 조기발견·적기치료가 중요한 감염병이다. 9월 현재 SFTS 치명률은 19.5%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매개체인 참진드기와 털진드기는 각각 8월과 10월 초에 개체 수가 급증해 11월까지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해당 시기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최근 3년간 주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 월별 발생 현황. <자료=질병관리청>
최근 3년간 주요 진드기 매개 감염병 월별 발생 현황. <자료=질병관리청>

아울러 쥐 등 설치류 매개 감염병인 렙토스피라증, 신증후군출혈열 환자도 가을철 꾸준히 확인되고 있다. 

렙토스피라증은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설치류 및 가축(소, 돼지 등)의 소변으로 오염된 물, 토양, 음식물 등에 사람의 상처 부위나 점막 등이 노출된 후 2일~4주 이내 고열, 오한, 두통, 근육통 등 증상을 나타낸다.   

주로 태풍, 홍수, 장마 때 오염된 물을 통해 균에 노출된 후 9~11월에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계절적 특성을 보인다. 현재까지 신고된 환자는 전년 동기(60명) 대비 48.3% 감소한 31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신증후군출혈열 환자는 123명에서 205명으로 약 66.7% 늘었다. 

신증후군출혈열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의 배설물과 소변, 타액 등을 통해 배출된 바이러스가 건조돼 사람의 호흡기나 상처난 피부 등을 통해 감염된다. 증상으로는 1~2주 이내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등이 있다. 

야외활동이 많은 사람들에게 주로 발생하며, 성별로는 남자, 직업별로는 군인과 농부에서 환자가 집중된다.

최근 3년간 주요 설치류 매개 감염병 월별 발생 현황. <자료=질병관리청>
최근 3년간 주요 설치류 매개 감염병 월별 발생 현황. <자료=질병관리청>

한편, 진드기·설치류 매개 감염병 환자의 감염 위험요인이 주로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으로 나타남에 따라 질병청은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농작업이나 추석 명절 전·후 벌초, 성묘, 여행 등 야외활동 시 긴 소매, 긴 바지 등으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귀가 후에는 바로 옷을 세탁하고, 샤워하면서 진드기에 물렸는지 확인해야 한다.

설치류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농작업, 수해복구 등 야외활동 시 피부보호를 위해 반드시 방수 처리가 된 장갑, 작업복, 장화를 착용해야 한다. 신증후군출혈열 감염 위험이 높은 농부, 군인 등은 신증후군출혈열 예방접종을 권장한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추석명절 및 10월 연휴기간에 가을철 야외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농작업 등 야외활동 후 발열, 두통, 근육통,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의료진에게 야외활동력 등을 알리고 적기에 치료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의료인은 가을철에 감기 증상의 환자가 내원할 경우 진드기·설치류 매개 감염병일 가능성을 염두해 야외활동력 등을 문진하고, 적극적인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해 달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