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제3차 빈일자리 해소방안’ 발표..지역 여건 및 수요 고려
구인난 해소 일시·구조적 노동수급 개선..거점별 고용서비스 혁신
인프라 확충, ‘지역특화비자’ 쿼터 확대 검토 등 외국인 활용 강화

공공뉴스=김민성 기자 정부가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지역별 맞춤형 빈일자리 대책을 추진한다. 

고용노동부는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제3차 빈일자리 해소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 3월과 7월에 발표한 업종별 빈일자리 대책에 이어 보다 현장감 있는 지역 맞춤형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방안이다. 

한 일자리 박람회에서 취업준비생들이 채용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그간 정부는 산업현장의 인력수급을 최우선 과제로해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전담반’을 중심으로 업종별 빈일자리 대책을 추진해 왔다. 그 결과  8월 빈일자리 수는 22만1000개로 전년동월 대비 3000개 감소하는 등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 제조업 등 주요 산업현장에서는 여전히 일할 사람을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역마다 산업구조, 인구구조 등 노동시장의 특성이 달라 인력부족의 원인과 구인난 업종 등이 상이한 상황을 감안해 정부는 지역 현장을 반영한 보완 대책을 준비해왔다.

이번에 지역 노동시장을 가장 잘 아는 지자체와 함께 지역별 맞춤형 지원대책을 ‘제3차 빈일자리 해소방안’으로 마련했다.

이번 대책은 ▲지역별 맞춤형 빈일자리 해소 프로젝트 ▲고용서비스 등 인프라 확충 ▲지역 외국인력 활용 강화로 구성됐다.

지역인력 유입 프로젝트는 우선 광역단체별로 빈일자리 규모, 현장 체감도를 기준으로 지원대상인 빈일자리 업종을 선정했다. 이후 해당 업종의 인력난 원인을 세부적으로 파악한 후 이를 완화할 수 있는 구체적 대응방안을 지자체 주도로 설계하고 적극 추진한다.

예를 들어 8월 기준 전국에서 빈일자리율이 1.7%로 가장 높은 충북은 ▲식료품 제조업 ▲보건복지업 ▲반도체 부품업에 대한 지원방안을 담았다.

식료품 제조업의 경우 지역내 관련 기업의 47.5%가 음성·진천군에 집중됐다. 그러나 이 지역은 인구유출 및 고령화 심화로 원활한 노동공급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대다수 기업이 소규모 영세기업으로 산단지역에 밀집돼 있지 않고 지역내 분산돼 있는 상황이다. 

이에 ‘지역인력 유입 프로젝트’에서는 고용센터·지자체 일자리센터 등 관계기관 협업체계를 구축해 충주시 등 인근 도시의 미취업자를 구인 기업과 연계하고 통근 차량 및 기숙사 임차비 등을 지원한다.

아울러 여성인력 유입 확대를 위해 근로시간 단축·유연화 지원을 강화하고 정년퇴직자를 1년 이상 계속 고용하는 경우 고령자 계속 고용장려금 지원수준을 확대한다. 

‘제3차 빈일자리 해소방안’ 주요 내용 포스터. <사진제공=고용노동부>
‘제3차 빈일자리 해소방안’ 주요 내용 포스터. <사진제공=고용노동부>

근로환경 개선 프로젝트도 병행실시돼 지역인력 유입 프로젝트에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지자체가 지역 중소기업의 근로환경과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사업을 ‘메뉴판’ 형태로 제공하고 빈일자리 수준 등을 평가항목으로 반영해 지원한다. 

정부는 고용서비스 등 인프라 확충 및 지역 외국인력 활용을 강화할 예정이다.

빈일자리 핵심기업 지역내 구인 중인 일자리으뜸기업 등 5000개를 선정해 전국 고용센터의 신속취업지원TF 등을 통해 구인·구직 매칭을 집중 지원한다. 

이와 함께 대·중소기업 상생형 공동훈련센터를 올해 60개에서 내년 80개로 20개를 신설하는 등 지역 인력양성 인프라를 확충한다.

지역에 우수 외국인력이 정주할 수 있도록 ‘지역특화비자’ 쿼터 확대도 검토하기로 했다. 우수인력의 지역 장기 정착을 위해 거주에서 영주로 이어지는 단계적 비자 체계를 구축한다. 

내년도 비전문 외국인력(E-9) 쿼터를 확대하고 인력부족 지역에 우선 배정하는 등 지역에서 외국인력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이정식 고용부 장관은 “지역별 빈일자리 대책인 ‘제3차 빈일자리 해소방안’이 앞서 발표한 업종별 대책과 함께 내실 있게 추진된다면 6대 국정 목표 중 하나인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달성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초 지역별 맞춤형 프로젝트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남은 기간 동안 지자체와 긴밀히 협의해 이번 대책이 지역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