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 이동자 수 612.9만명..49년 만에 최저치
20·30대 높고 60대 이상 낮아..34년째 ‘탈서울’ 지속

공공뉴스=김수연 기자 지난해 국내 인구 이동자 수가 49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경기 둔화와 부동산 경기 침체, 저출산·고령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시스>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뉴시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23년 국내 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이동자 수는 612만9000명으로 전년대비 0.4%(2만3000명) 감소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나타내는 인구이동률은 12%로 1년 전 수준과 비슷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22.8%)와 30대(20.1%)에서 높고 60대 이상 연령층에서는 낮았다.

순유입률은 인천(1.1%)과 충남(0.7%), 순유출률은 광주(-0.6%)와 울산(-0.6%)이 높게 나타났다.

시도별 전입률은 세종(14.6%), 인천(14.3%), 대전(12.9%) 순으로 높았다. 전출률은 세종(14.1%), 서울(13.3%), 인천(13.2%) 순으로 높았다.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시도는 경기(4만5000명), 인천(3만4000명), 충남(1만6000명) 등 5곳이었다. 

인천, 충남 등은 전년대비 순유입 규모가 증가했고 세종, 충북은 감소했다.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순유출이 발생한 시도는 서울(-3만1000명), 경남(-1만6000명), 부산(-1만1000명) 등 12개 시도였다. 서울은 1990년부터 지난해까지 34년째 인구가 순유출되고 있다. 

지역 인구대비 순이동자 수 비율을 보면, 순유입률은 인천(1.1%), 충남(0.7%), 세종(0.4%) 순으로, 순유출률은 광주(-0.6%), 울산(-0.6%), 경남(-0.5%) 순으로 높았다.

전년대비 순유입률이 증가한 시도는 인천(0.2%포인트), 충남(0.1%포인트) 등이고 순유출률이 증가한 시도는 광주(-0.1%포인트), 전남(-0.1%포인트) 등 이었다.

서울 전출자의 60.5%는 경기로 이동, 세종 전입자의 24.6%는 대전에서 이동했다. 서울·인천·강원·충북·충남·전북 6개 시도의 전입 및 전출 1순위 지역은 모두 경기였다.

1970년~2023년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자료제공=통계청>
1970년~2023년 이동자 수 및 이동률 추이. <자료제공=통계청>

인구이동 사유는 주택(34.0%), 가족(24.1%), 직업(22.8%) 등으로 많았다. 총이동 사유의 80.9%를 차지했다.

권역별 인구이동을 살펴보면 수도권·중부권은 순유입, 영남권·호남권은 순유출이었다. 권역간 순이동은 중부권은 3개 권역으로부터 순유입, 영·호남권은 수도권과 중부권으로 순유출 됐다. 

수도권은 20대 순유입이 가장 많았고 영남권은 50대 이상을 제외한 연령층에서 순유출 됐다.

총 이동자 중 수도권내 이동자는 47.3%로 전년대비 1.4%포인트 증가했다. 수도권내 이동자수는 289만7000명으로 전년대비 2.7%(7만7000명) 상승했다.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이동은 41만5000명으로 전년대비 1.8%(8000명) 줄었다. 수도권에서 충남·충북 등으로 순유출됐고 부산·경남 등은 수도권으로 순유입됐다.

순유입률이 높은 시군구는 대구 중구, 경기 양주시, 전북 완주군 순이었다. 전국 228개 시군구 중 93개 시군구는 순유입됐고 135개 시군구는 순유출 됐다.

저작권자 © 공공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